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12일 당내 계파 간 폄훼성 단어를 쓰는 것과 관련해 “‘수박’이라는 단어를 쓰는 분들은 가만히 안 두겠다”며 경고하고 나섰다.
우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신공격, 흑색선전, 계파 분열적 언어를 엄격하게 금지하겠다. 심지어 공당의 대표라는 분에게 ‘수박’이라고 하는 것은 자기모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수박’은 ‘겉과 속이 다르다’는 의미로 이재명 민주당 상임고문 지지자가 대선후보 경선 상대였던 이낙연 전 대표의 측근 등 친문(친문재인)계 정치인을 비난할 때 쓰는 표현이다.
우 위원장은 “(선거에) 진 정당이 겸허한 것이 아닌 남 탓하고, 상대 계파의 책임만 강조하는 방식으로는 국민 신뢰를 회복할 수 없다”며 “당내 제도, 정책, 노선, 비전에서 활발한 토론을 보장할 생각이다. 조심들 하셔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또 “(제가) 원내대표를 할 때도 쓸데없는 발언을 하는 의원들 가만히 두지 않았다. 감정을 건드리는 언어를 쓰기 시작하면 비대위가 정리하기 매우 어렵다”며 “(발언을) 감시하고 억압하지 않겠지만 당에 해가 되는 발언을 (보면) 국민이 뭐라고 하겠나. 국회의원 수준이 떨어진다고 할 테니 공개적으로 경고하겠다”고 강조했다.
우 위원장은 비대위의 임무 중 하나인 차기 지도부 선출에 대해서는 “전당준비위원장 선임 등 전준위 발족을 최대한 서둘러 금주 중 마무리할 것”이라며 “8월 말로 예정된 전대 일정을 절대 변경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또 “대선과 지방선거를 평가할 평가단의 구성도 서두르겠다”고 했다.
계파 간 이해가 엇갈리는 전대 룰 중 대의원, 권리당원의 투표 반영 비율과 관련해서는 “2∼3년 새 당원이 늘어 대의원과 당원의 (투표 반영) 비율이 1대 80, 1대 90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온다. 조정이 필요하다”고 예고했다.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입법 과정에서 탈당해 ‘꼼수’ 지적이 일었던 민형배 무소속 의원의 복당을 요청할 것인지를 묻는 말에는 “그럴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검수완박 문제는 헌법재판소에 제소돼 있다”며 “민 의원의 헌신을 평가하지만 이 문제는 헌재의 판결이 내려지는 것이 먼저”라고 부연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