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이 자신의 ‘국정원 X파일’ 언급에 대해 국정원이 이례적으로 공개적인 유감을 표명하자, “공개 발언 시 유의하겠다”며 사과했다.
박 전 원장은 앞서 지난 10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국정원에 정치인, 기업인, 언론인 등 우리 사회의 모든 분들 존안 자료, ‘X파일’을 만들어서 보관하고 있다”고 말했다. 존안자료는 인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말한다.
박 전 원장은 ‘X파일’ 대부분이 ‘카더라’ 식이라면서도 공개되면 파장이 클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여야의 불행한 역사를 남겨 놓으면 안 된다. 그러니 특별법을 제정해서 폐기해야 된다 하는데 이걸 (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박 전 원장은 또 “국정원은 박정희 시절부터 박근혜 정부까지 60여년간 정치인, 기업인, 언론인 등 우리 사회 모든 분들의 존안자료를 만들어서 보관하고 있다”면서 “공소시효가 7년이기에 (법으로 다룰 수 있는 것은) 박근혜 정부 2년”이라고도 했다.
박 전 원장은 이후 11일 JTBC와의 추가 인터뷰에서도 “자세한 얘기는 못하지만 국정원이 그런 파일을 축적해놓고 있다”면서 ‘그 안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자료도 있느냐’는 질문에 “국정원법을 위반하면 내가 또 감옥가니 디테일하게 얘기 못하지만 근본적으로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전 대통령이 ‘국내 정보 수집하지 마라’고 해서 (문재인 정부는) 안 했다”고 말했다.
이에 국정원은 이례적으로 보도자료를 내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국정원은 “사실 여부를 떠나 원장 재직 시 알게 된 직무 사항을 공표하는 것은 전직 원장으로서 부적절한 행동”이라면서 “전직 원장의 국정원 업무 관련 발언은 정치적 목적으로 해석되고, 국가 안보를 위해 묵묵히 헌신하고 있는 국정원과 직원들을 불필요한 정쟁의 소용돌이 속으로 몰아갈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원장들 가운데 퇴임 직후 업무 내용을 언론 인터뷰에서 언급한 전례도 없다”면서 “앞으로 공개 활동 과정에서 국정원 관련 사항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자제해 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후 논란이 확산되자 박 전 원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제가 몸담았고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국정원과 국정원 직원들에게 부담이 된다면 앞으로는 공개 발언 시 더 유의하겠다”며 사과했다.
그러면서 “국정원 문서가 정쟁으로 이용돼선 안 된다는 소신을 얘기한 것으로, 평소 여야 의원들이나 기자들과의 간담회 때도 얘기했던 내용”이라며 “국회에서 (자료 폐기를) 논의하다 중단된 것이 아쉽다는 점을 언급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