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동구 학동 재개발 철거건물 붕괴로 사망자 9명 등 17명의 사상자를 낸 ‘학동 참사’ 1주기를 맞아 광주 시민단체들이 책임자들의 진심어린 사과와 반성을 촉구했다.
광주 지역 42개 단체로 구성된 ‘현대산업개발 퇴출 및 학동·화정동 참사시민대책위’는 9일 성명을 내고 “가족을 잃은 슬픔에 잠겨 있을 유가족과 사고 후유증으로 고통을 견디고 있을 부상자들에게 위로와 연대의 인사를 전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참혹한 날을 잊지 않고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안전한 광주를 만들어가기 위해 전방위적 노력을 다해 나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책위는 “광주공동체가 여전히 학동 참사의 충격과 아픔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참사 책임자들의 제대로 된 사과와 반성이 없기 때문”이라며 “이들은 재판 과정에서 사고 원인에 대한 국토부의 공식 조사조차 부정하며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기에 급급했다”고 질타했다.
이어 “참사의 핵심 원인 제공자인 현대산업개발에 희생자들과 유족, 부상자와 광주시민들 앞에 진심 어린 사과를 촉구한다”며 “이 사고를 교훈 삼아 우리 사회가 안전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추모공간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대책위는 사법기관의 판결 지연에 대해 목소리를 높여 비판하고 엄중한 법 집행을 요구했다. 대책위는 “참사 1년이 지나도록 1심조차 내려지지 못한 와중에 똑같은 원인과 이유로 화정동(아이파크 붕괴) 참사가 일어났다”며 “엄정한 법 집행이 있었다면 막을 수 있는 사고였다는 여론을 사법부는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비판했다.
입법부를 향해서도 쓴소리를 내놨다. 대책위는 “참사 이후 20여개 이상 제출됐던 법안들은 여전히 국회에서 잠자고 있다”며 “정치권, 특히 광주의 국회의원들은 무엇보다도 사명감을 가지고 안전 사회를 앞당기기 위한 법 제정과 개정에 앞장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광주시를 항해서는 “광주 동구·서구에 건설된 건축안전센터는 고작 실무자가 2명뿐이고 권한도 불분명하다”며 “광주시의 부실공사 척결 종합대책도 위반사항 발견 시 처벌조항이 마찬가지”라고 꼬집었다.
이날 오후 4시 학동 사고 현장에서 열린 추모식에선 피해자 유족, 종교계 인사, 광주 시장 등이 참석해 영령의 넋을 위로했다. 사건 발생 시간인 오후 4시 22분 추모 묵념이 진행됐다.
지난해 7월 구성된 대책위는 올해 1월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 발생 이후 명칭을 바꿔 화정 참사 피해자들과도 연대하고 있다.
이찬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