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뒷담] 양대 금융노조, 김주현 금융위원장 향한 시선 엇갈리는 까닭

입력 2022-06-10 06:00
금융위원장 후보자로 지명된 김주현 여신금융협회 회장이 7일 오후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취재진 질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정부 첫 금융 정책 수장으로 내정된 김주현 금융위원장 후보자에 대해 금융 업계 양대 노조인 전국금융산업노조와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조가 엇갈린 시선을 보내고 있다.

금융노조는 김 후보자에 대해 강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그가 이명박정부 당시 KDB산업은행 민영화를 추진했던 실무자(금융위 금융정책국장)이기 때문이다. 금융위원장 부임 후 산은 지방 이전을 적극적으로 밀어붙일 뿐만 아니라 민영화까지 재추진할 수 있다는 우려다.

노조원 수가 10만명에 이르는 금융노조는 은행 중심으로 구성돼 있는데 산은을 비롯해 수출입은행(부산)·Sh수협은행(부산)·IBK기업은행(대구) 등 금융노조 산하에 지부를 둔 금융사가 대거 지방 이전 후보로 오르내린다. 김 후보자에 대한 경계심이 클 수밖에 없다. 금융노조는 지난 8일 오전부터 산은 지부와 함께 강석훈 회장 내정자의 출근 저지 투쟁에 나선 상태다.

반면 사무금융노조에서는 다소 다른 분위기가 감지된다. 김 후보자의 지명설이 흘러나온 직후인 지난달 17일 반대 성명을 내기는 했지만 사실상 윤석열정부의 금융 정책을 비판하기 위한 용도였다. ‘김 후보자는 금융 감독 체계를 개선할 적임자로 보이지 않는다’는 제목을 달았으나 윤 대통령 금융 관련 국정 과제의 미흡성을 지적하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노조원 수가 7만명가량인 사무금융노조의 경우 제2 금융권 민간 금융사가 중심이라 지방 이전 문제에서 한 발짝 비켜서 있다. 신한·KB국민·현대카드, 현대·KB·우리캐피탈 등 주요 신용카드·할부금융사 다수가 가입돼 있기도 하다. 이들을 대표해 목소리를 내는 여신금융협회 수장 출신인 김 후보자를 딱히 반대할 이유가 없다는 평가다.

금융노조는 일단 강 내정자 출근 저지 투쟁에 힘쓰되 김 후보자의 언행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금융위 차원에서 산은 지방 이전에 힘을 싣거나 민영화를 다시 검토하는 기미가 보일 경우 김 후보자에 대해서도 추가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