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인적 자원 경쟁력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24위에 그쳤다. 특히 해외인력 유입, 여성인력 고용 등을 측정하는 인적 자원 ‘매력도’ 항목에선 33위에 불과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9일 ‘2021 세계 인적자원 경쟁력지수’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유럽경영대학원(INSEAD)은 2013년부터 세계노동기구(ILO), 세계경제포럼(WEF), 유네스코 자료를 토대로 각국의 인적 경쟁력을 평가하고 있다.
부문별 세부 지표를 보면 한국은 매력도 부문에서 고등교육(대학 이상) 해외 유입률이 2.8%로 OECD 37개국(비교 가능 국가) 중 33위에 머물렀다. 관리자, 전문직, 기술자 등 고숙련 일자리에서 여성 인력이 차지하는 비율 역시 OECD 37개국 중 27위로 나타났다.
다른 OECD 국가에 비해 해외로부터 인적 자원 유입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여성 고급 인력도 활용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매력도 순위는 33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성장성 부문에서는 고등교육 1인당 정부지출 규모가 5773달러로 OECD 37개국 중 31위에 불과했다. 1위 룩셈부르크(4만5567달러), 2위 스위스(2만5713달러) 등에 비하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직업 인재 양성을 위한 15~24세 인구의 직업교육 등록률은 22위(14.3%)였다. 근로자 역량개발 정도를 점수화해 평가한 항목에서는 23위(59.64점)를 기록해 교육뿐 아니라 실제 직업역량 개발도 부진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경련 측은 “이러한 상황이 결과적으로 교육과 직업 간의 미스매칭이 크고, 노동생산성이 낮아지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인적자원 혁신 결과를 나타내는 종합지표 ‘직업·기술적 역량’ 부문의 하위 지표인 ‘스킬 매칭 정도’에서도 한국은 비교 가능한 OECD 30개국 중 30위로 꼴찌였다. 노동생산성에서도 38개국 가운데 22위로 중하위권에 그쳤다.
전경련 관계자는 “인적자원 경쟁력 상위권 국가들은 인재 적극 유치, 직업교육 활성화, 실질적 직업 역량 개발 등 미래 인적자원 혁신에 주력 중이다. 그러나 한국은 미래지향적 인적자원 혁신 정책보다 고용유지 등에 비중을 두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