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9일 물가 안정화 대책과 관련해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선제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인플레이션 확산세가 장기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당분간 기준금리를 선제적으로 인상하는 긴축적 통화정책을 펴야 한다는 것이다.
한은은 이날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최근 물가 상승 원인에 대해 “코로나19 이후 경기회복 등 수요 측 요인과 함께 공급망 병목,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국제원자재와 곡물가격 상승 등 공급 측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했다. 이어 “최근 방역조치 완화로 국내 소비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인플레이션 확산세가 장기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물가상승 압력이 전방위로 빠르게 확산되고 기대인플레이션도 상승세를 지속하는 상황에선 중앙은행이 물가불안 심리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통화정책을 선제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거시경제 안정화를 위해 바람직하다”고 했다.
한은은 1970년대 석유파동으로 인한 고인플레이션 시기 주요국의 정책 사례를 분석해 이같이 판단했다. 당시 금리인상을 통해 물가불안 심리를 조기에 차단한 독일이 경기 부양을 위해 돈을 풀었던 미국에 비해 바람직한 정책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따라 연말까지 한은은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당분간 물가에 보다 중점을 두고 통화정책을 운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박종석 한은 부총재보는 기준금리 빅스텝(0.5% 포인트 인상) 가능성에 대해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지만 현재로선 0.25% 포인트씩 올리는 게 적절하다”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