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정부 게임 정책 토론회, e스포츠 활성화 방안은 ‘글쎄’

입력 2022-06-08 19:30

윤석열 정부가 약속한 e스포츠 진흥 정책에 대해 학계와 업계 관계자들이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냈다.

더불어민주당 이상헌 의원과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이 공동 주최한 ‘윤석열 정부 게임 정책,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나?’ 토론회가 8일 국회의원회관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지난 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건 e스포츠 산업 활성화, 중국 판호 해결, ‘돈 버는 게임(play to earn, P2E)’ 허가 등이 토론회에서 논의됐다.

이 자리에서 e스포츠 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열띤 논의가 있었지만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한 채 마무리됐다. 먼저 다른 스포츠와 다르게 프로게이머 위주로 팬층이 형성되는 e스포츠 특성상 지역연고제는 당장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팀을 지역에 묶어두는 것이 지역 기반의 팬층으로 이어질지 미지수라는 평가다.

지역 e스포츠 경기장 활성화의 경우 보다 실무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지역 e스포츠 경기장을 건설하는 데에 지자체 간 협의가 원활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철학 한국e스포츠협회 사무총장은 “e스포츠 경기장은 이미 충분하다”면서 이미 건립한 10여 개의 e스포츠 경기장을 내실 있게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발표하는 위정현 교수.

e스포츠를 일상 밀착형으로 발전해나가야 한다는 주장엔 참석자들이 긍정적으로 뜻을 모았다. 위정현 콘텐츠미래융합포럼 의장은 초중고 아마추어 리그를 활성화하고, 게임을 유해 산업으로 보는 시각을 바꿔야 한다고 발표했다. 청소년의 게임 문화를 국가에서 관리하고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 사무총장은 e스포츠 산업을 글로벌화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 자리한 PC방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그는 “해외에선 우리나라 PC방 문화가 잘 정착해 있다고 호평한다”라며 “유해시스템화 되어 있는 PC방 문화에 대해 인식 재고가 필요하다”라고 언급했다.

정진솔 인턴기자 s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