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7일 국무회의에서 “교육부는 과학기술 인재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때만 의미가 있다. 그런 혁신을 수행하지 않으면 교육부가 개혁의 대상이 될 수 있다”며 교육부에 강도 높은 주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8일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이 발상의 전환을 해야 한다고 교육부에 강력히 주문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교육부가 첨단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제대로 공급해야 한다. 반도체 산업이 잘 되려면 교육부자 잘해야 한다”며 “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서로 연결돼 인력을 제대로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다른 부처와 협의해 그 수요를 고려해 교육 정책을 펴라”, “인재를 키워내는 것은 생사가 걸린 문제다” 등 인재 육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발언을 거듭 반복했다고 전했다.
국무위원들이 여러 의견을 내는 과정에서 인재 양성의 현실적 어려움을 이야기하자 윤 대통령은 “반도체 전쟁에서 얼마나 다급한 상황인데 그런 것을 뛰어넘는 발상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무회의에 참석한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인력 양성이) 수도권 대학 정권 규제 때문에 힘들다”고 토로하자 윤 대통령은 “웬 규제 타령이냐”는 취지로 발언하기도 했다고 또 다른 핵심 관계자는 전했다.
이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국가의 운명이 걸려있는 역점 사업을 우리가 치고 나가지 못한다면 이런 교육부는 필요가 없다. 시대에 뒤처진 일을 내세운 교육이 무슨 의미가 있나. 이런 교육부는 폐지돼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날 국무회의에서 윤 대통령은 이종호 과기부 장관의 ‘반도체 특강’을 열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특강이 끝난 뒤 전 부처 장관들이 “과외를 받아서라도 반도체 공부를 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