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비대위 구성했지만…전준위·평가위 등 곳곳에 암초

입력 2022-06-08 16:13 수정 2022-06-08 20:56

더불어민주당이 진통 끝에 우상호 의원을 사령탑으로 하는 새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지만 8월 전당대회까지 곳곳에 지뢰가 놓여있는 형국이다.

당장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와 대선 평가위원회(평가위)가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우상호 비대위’의 당면 과제는 친명(친이재명)계와 친문(친문재인)계가 모두 납득할 수 있는 전준위를 구성하는 것이다.

민주당의 한 중진 의원은 8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결국 이번 전당대회는 ‘친명 대 친문’ 간의 전면전이 될 것”이라며 “전준위가 전당대회 룰을 세팅하기 때문에 전준위 구성부터 상당한 기싸움이 벌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양측은 이미 권리당원의 투표권을 얼마나 인정하는 문제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친명계는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의 등가성 문제를 제기한다.

현재 민주당은 전당대회 경선에서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국민 여론조사 10%, 일반당원 여론조사 5%를 득표에 반영하고 있다.

친명계 핵심 관계자는 “지난해 5월 전당대회 당시 대의원 1만6000여명과 권리당원 69만명의 표가 비슷한 비율로 반영돼 사실상 대의원 1명이 권리당원 60여명의 표결권을 행사한 셈”이라며 “당원권을 확대하는 요즘 추세와 맞지 않다”고 말했다. 다른 친명 의원은 “원래 전대 룰은 전대 때마다 바꿔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친문계는 전당대회를 두 달여 앞둔 상황에서 룰을 바꾸면 혼란이 커진다고 반박한다. 한 친문 의원은 “누가 봐도 이재명 의원에게 유리한 룰인데, 이제 와서 바꾸자고 하면 어떻게 하라는 것이냐”고 주장했다.

다만 ‘6개월 전 입당, 6회 이상 당비 납부’한 권리당원에게 투표권을 주도록 규정한 당규를 변경해 신규 권리당원에게도 투표권을 주자는 방안에 대해서는 친명 측도 강하게 주장하지 않는 분위기다

대선 평가위 구성도 만만치 않은 난제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선거 패배에 대한 당의 평가가 특정 인물의 책임 여부를 묻는 데 집중되거나 국한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선 평가 문제를 놓고 계파 갈등이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한 발언이다.

하지만 양측 모두 대선 평가를 놓고도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친문 진영은 전당대회 전 대선 패배의 책임을 이 의원에게 확실히 묻겠다는 입장이고, 친명계는 전당대회 후 새 지도부가 철저하게 평가하자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친문 핵심인 홍영표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국민이 이미 평가를 내렸기 때문에 대선과 지방선거 평가에 그렇게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며 “당이 어려운 상황이니 평가를 하지 말라는 것은 동의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의원과 가까운 한 의원은 “(대선 평가는) 자칫 전당대회를 앞두고 분열과 갈등의 씨앗이 될 수 있다”며 “지금부터 충분히 준비해서 새로운 지도부가 제대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승욱 김승연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