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학대와 빈곤에서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는 대구형 아동지원정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지역 아동의 빈곤과 학대 현황을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모을 계획이다.
시는 아동이 행복하고 안전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대구지역 빈곤아동 및 아동학대 실태조사 용역’에 착수했다고 8일 밝혔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대구지역 아동학대 신고건수는 2020년 1868건, 2021년 2068건으로 늘어났다. 대구의 아동 빈곤율은 전체 아동의 10% 정도인 4만명 정도로 추정된다. 지역 아동학대와 빈곤이 우려되는 수준이라는 짐작은 가능하지만 지금까지 시 차원의 실태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구체적인 진단을 내리지 못했다.
이에 전국 처음으로 아동과 관련된 빈곤과 학대 실태를 동시에 조사하기로 했다. 시는 아동의 빈곤과 학대 위기가 필연적으로 연관되는 것은 아니지만 둘 다 아동의 생존권과 보호권을 해치는 주요 요인이기 때문에 동시에 조사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이번 용역은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진행한다. 지역 내 빈곤아동과 아동학대 실태조사를 동시에 실시해 둘의 연관성을 찾고 객관적인 근거자료를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구지역 빈곤아동 실태와 복지욕구 조사, 빈곤가구 및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 인프라 분석, 전국 및 대구지역 아동학대 실태·의식조사, 아동의 빈곤과 학대예방을 위한 정책 시사점 도출 등이 진행된다.
시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대구형 아동지원정책을 개발할 방침이다. 실태조사는 올해 말 완료될 예정이다. 시는 오는 9일 시청 별관에서 2022년 상반기 ‘대구시 광역아동보호전담기구’ 회의를 개최해 기관별 아동학대 정책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한다. 이 기구는 시와 대구교육청, 대구경찰청, 아동보호전문기관 등으로 구성돼있다.
조윤자 대구시 여성청소년교육국장은 “아동의 안전을 해치는 빈곤과 학대에 대한 객관적인 실태조사를 실시해 관련 데이터를 확보할 계획”이라며 “위기 발생 시 데이터를 활용해 공공 중심의 신속한 현장대응과 유관기관 협력이 이뤄질 수 있도록 아동보호체계를 촘촘하게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