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북한 조만간 핵실험, 긴급 상황”…한미 전투기 20대 서해 날았다

입력 2022-06-07 16:44
한미 동맹이 북한의 지속적인 탄도미사일 도발에 대응하여 전일 한미 연합 지대지미사일 사격에 이어 7일 공중무력시위 비행을 시행하였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미국 정부는 북한이 조만간 핵실험을 할 수 있다고 평가한 뒤 “이것은 긴급상황”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한·미는 외교·국방 채널을 총동원해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한·미 공군은 7일 F-35A 스텔스 전투기 등 20대를 동원해 서해 상공에서 대북 연합 공중무력 시위를 벌였다.

한·미는 또 외교차관 회담을 갖고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추가 대북제재가 검토될 수 있다고 압박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북한이 조만간 7차 핵실험을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면서 “(이는) 상당 기간 지녀온 우려”라고 밝혔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어 “이것은 긴급 상황이며, 우리는 여기에 대비돼 있다”면서 “이 문제에 대해 동맹 간에 단합된 논의가 있어 왔다”고 설명했다.

한·미 외교차관은 7일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회담을 가졌다.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과 관련해 “그러한 실험에 대해서는 신속하고 단호한 대응이 있을 것”이라고 압박했다.

셔먼 부장관은 ‘북한의 7차 핵실험에 대비해 미국과 동맹국들이 어떤 공동 비상계획을 마련했느냐’는 질문에는 “북한은 알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구체적인 방안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북한에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풀이됐다.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은 “북한이 핵실험을 한다면 미국, 국제사회와 공조해 추가 제재를 검토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한·미 방위태세 차원에서의 추가적 조치도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무력도발에 군사적 맞대응도 이어졌다. 정밀유도무기를 장착한 한국 공군의 F-35A 4대, F-15K, KF-16 등 전투기 16대와 주한 미 공군의 F-16 전투기 4대 등 20대가 이날 서해상 공역에서 공중무력 시위 비행을 했다고 합동참모본부는 밝혔다.

북한이 지난 5일 단거리 탄도미사일 8발을 발사한 것에 대응해 한·미가 6일 지대지미사일인 에이태큼스(ATACMS) 8발로 동해상으로 쏘면서 ‘비례 대응’ 한 데 이은 대북 무력시위다.

다만 한·미 전투기는 실제 사격을 하지 않았고, 폭탄 등도 투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미는 북한이 7차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B-1B 전략폭격기를 비롯한 전략자산 한반도 전개 등 더 강력한 조치로 대응할 전망이다.

‘죽음의 백조’라고 불리는 B-1B 전략폭격기 편대는 이미 괌 미군기지에 전진 배치돼 있어 약 2시간 내 한반도에 도달할 수 있다.

김영선 신용일 정우진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