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총파업 전국 곳곳 물류 비상…16개 지역별 출정식·운송거부

입력 2022-06-07 16:05 수정 2022-06-07 16:40
화물연대 경북 포항지역본부는 7일 오전 10시 포스코 포항본사 앞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가 7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주요 항만과 산업단지 등 전국 곳곳에서 물류 차질이 예상된다.

화물연대는 이날 오전 부산, 인천, 울산, 경북 포항 등 전국 16개 지역본부별로 총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국토부는 이날 출정식에 화물연대 조합원 2만2000명 중 약 37%인 8200명이 참여한 것으로 추산한다.

화물연대는 안전 운임 일몰제 폐지 및 전 차종·전 품목 확대, 운송료 인상, 지입제 폐지 및 화물 운송산업 구조 개혁, 노동기본권 확대 및 화물노동자 권리 보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날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우리나라 최대 무역항인 부산항 등 전국 주요 항만에는 비상이 걸렸다. 화물연대 부산지부는 부산신항과 신선대부두, 감만부두 등 주요 항만에서 화물 운송을 거부하며 파업에 들어갔다.

파업 첫날 부산항 신항의 한 컨테이너 터미널은 평소 시간당 1000대 이상 출입하던 컨테이너 차량이 눈에 띄게 줄었다.

부두 내 장치율은 북항과 신항 10개 터미널 평균 73.9%를 유지하고 있다. 평소 장치율은 70% 수준이다.

부산항만공사는 비상대책본부를 설치하고 24시간 부산항 물류 상황을 면밀하게 살피고 있다. 또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북항 2곳과 신항 5곳에 총 2만2000여TEU의 장치 능력을 갖춘 임시 장치장을 확보하고 장치율 상승에 대비하고 있다.

해운업계는 당장 항만 운영에 차질은 없지만, 화물연대가 항만 주요 지점에서 거점 투쟁을 하면 수출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항과 전남 광양항, 전북 군산항 등에서는 화물선이 내려놓은 원자재를 화물차에 싣는 상차 작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임시 컨테이너 장치장 설치 등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파업이 장기화되면 물류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국토부는 지역별 비상수송위원회를 통해 부산항과 인천항 등 주요 물류거점에 군 위탁 차량 등 관용 컨테이너 수송차량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철강, 화학, 조선 등 산업단지와 물류 현장 곳곳에서는 운송에 차질이 빚어지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화물연대 포항지역본부는 이날 약 800명이 참가한 가운데 총파업 출정식을 하고 운송 거부에 나섰다.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하루 물동량 약 4만9000t 가운데 2만t 정도의 출하가 지연될 것으로 내다본다. 현대제철 포항공장은 이날 하루 9000t의 물량 출하가 전면 중단됐다. 사태 장기화 시 포항철강공단의 피해는 커질 전망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파업에 대비해 일부 물량은 사전 출하하고 운송사 별도협의로 고객사 수급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며 “정부를 대상으로 한 투쟁이어서 회사로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화물연대 경북 포항지역본부는 7일 오전 10시 포스코 포항본사 앞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했다.

석유화학단지가 있는 울산은 물론 경남에서도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등이 파업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수도권으로 시멘트를 공급하는 경기 의왕 유통기지와 충북 단양과 제천, 강원 영월 등의 시멘트 공장에서도 출하가 전면 중단됐다.

유통업계는 물류센터와 대형마트 지점 등을 연결하는 화물차주들의 파업 참여 비중이 크지 않아 큰 영향은 받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에 대비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국 종합=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