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7일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들어감에 따라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 물류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시는 이날 오후 4시부터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경찰청 등이 참석한 가운데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 대비 관계기관 대책 회의’를 개최한다.
이어 시 교통국장을 본부장으로 한 ‘부산시 비상수송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화물연대 파업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물류 차질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시는 이에 앞서 6일 대체 수송 차량 확보를 위해 16개 구·군에 자가용 화물차의 유상 운송 허가를 임시로 내주는 지침을 전달했고, 항만 터미널 안에서만 운행하는 야드 트랙터의 부두 밖 임시 운행을 허가하도록 차량등록사업소에 협조를 요청했다.
◇ 총파업으로 부산항도 '비상'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하자 우리나라 최대 무역항인 부산항에도 비상이 걸렸다. 화물연대는 이날 오전 부산 강서구 부산신항 삼거리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하고 주요거점으로 이동하는 거리 집회가 오후까지 이어지고 있지만, 현재까지 별다른 마찰이나 충돌은 없는 상태다.
총파업 출정식에는 경찰 추산 700여명과 차량 550대가 참여했다. 화물연대는 안전 운임 일몰제 폐지와 전 차종·전 품목 확대, 운송료 인상, 지입제 폐지 및 화물 운송산업 구조 개혁, 노동기본권 확대 및 화물노동자 권리 보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화물노동자의 생존을 위해, 국민의 안전을 위해, 우리 앞에는 단 하나의 길만이 놓여 있다”며 “투쟁으로 우리의 존재를 증명하고, 힘으로 우리의 권리를 쟁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지부는 이날 0시부터 화물 운송을 거부한 데 이어 부산항 신항과 남구 신선대부두, 감만부두 등에서 파업에 돌입했다.
이번 파업으로 부산항에도 비상이 걸렸다. 부산항 터미널운영사들은 화물연대 파업의 강도가 높아져 항만 등의 봉쇄를 시도하거나 장기화하면 항만 운영에 큰 차질을 빚을 것으로 내다봤다.
파업으로 부두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가 제때 빠져나가지 못해 장치율(컨테이너를 쌓아둔 비율)이 높아지면 부두 운영 차질은 물론 항만 운영이 마비되고 이에 따라 내수 판매와 수출, 원재료 수입 등에서 연쇄 피해가 생길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부산항만공사는 북항 2곳과 신항 5곳에 총 2만2000여TEU(1 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둘 수 있는 임시 장치장을 마련하는 한편 감만, 우암, 신항 안골 등의 공간을 확보해 장치율 상승에 대비하고 있다. 이밖에 부두 간 차량 이동을 위한 내부 통로를 개방하고 야드 트랙터와 일반 차량을 이용한 화물 운송을 지원하기로 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