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북한이 조만간 7차 핵실험에 나설 가능성에 우려를 표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우리는 북한이 조만간 7차 핵실험을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며 “상당 기간 지녀온 우려”라고 밝혔다.
그는 “이것이 긴급 상황이며, 우리는 여기에 대비돼 있다고 확언할 수 있다”며 “이 문제에 대해 동맹 간에 단합된 논의가 있어 왔다”고 덧붙였다.
앞서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이사회에서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의 갱도 중 하나가 재개방된 징후를 관찰했다”며 “이는 핵실험을 위한 준비일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유엔 안보리 차원의 제재가 어려운 점을 지적하며 미국이 독자적 제재를 추진하는 것 이외에 북핵 문제에 대응할 방법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일방적 행동은 매력적이지도 않고 효과적이지도 않다”며 “우리에게는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맹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인도 태평양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취하는 안보 위협을 이해하고 있는 다수의 동맹이 존재한다”면서 동맹국들과의 공조와 협력을 통해 대북 압박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최근 북한의 잇단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선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복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국제 사회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라며 “우리는 여전히 외교적 접근이 남아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한국과 일본에 대한 우리의 안보 약속은 철통같다”며 “웬디 셔먼 국무부 부장관이 한국에서 한·미 및 한·미·일 협의를 진행 중이며, 성 김 대북특별대표도 한국에서 최근 도발 행위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