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미트로 세닉 우크라이나 외교차관이 6일 한국을 방문했다. 지난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우크라이나 고위 관리의 첫 방한이다.
세닉 차관은 8일까지 2박3일간 한국에 머물며 정부 당국자와 기업인 등을 만나 자국의 전후 재건 방안 등을 모색할 계획이다. 세닉 차관은 우선 7일 오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이도훈 외교부 2차관과 면담한다. 외교부는 “우크라이나 상황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교역, 투자, 개발 등의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산 화석연료 수입이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우리 측에 전기차 지원을 요구하고, 주택 건설 등 전후 복구 사업 지원도 요청한 상태다. 우리나라가 시행해온 인도적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세닉 차관은 외교부뿐 아니라 재건 및 경제협력과 관련 있는 정부 부처들도 방문할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재계 인사들도 만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한국 기업이 적극 참여해 달라는 뜻을 피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우크라이나를 방문 중인 여당·외교부 대표단은 현지에서 지역 복원 및 양국 협력, 공동사업, 피란민 지원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를 필두로 한 대표단은 오는 9일 귀국하기 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접견할 것으로 전해졌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대표단을 만나 다음 달 4~5일 스위스 루가노에서 열리는 ‘우크라이나 재건 회의(URC)’에 윤석열 대통령의 참석을 요청할 것으로 관측된다. 또 대표단 접견 자리에서 한국의 살상무기 지원 가능성을 타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 정부가 인도적 지원을 넘어 무기까지 제공할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지난 4월 국방부는 우크라이나의 대공무기체계 지원 요청에 대해 “우리 안보 상황 등을 고려해 살상용 무기체계 지원은 제한된다는 입장을 설명했다”고 전했다. 결국 정부는 재건 사업 지원 등 경제적 지원의 범위를 넓히는 쪽으로 협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