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6·1지방선거에서 승리해 돌아오면서 본격적인 조직 개편와 쇄신 인사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오 시장은 지난해 보선 승리 후 임기가 1년밖에 남지 않은 점을 감안해 당면한 현안 처리에 집중했었다. 이젠 4년 임기가 확보된 만큼 대대적인 쇄신 작업이 나설 전망이어서 서울시 조직이 잔뜩 긴장한 채 숨죽이고 있다.
지난 2일 업무에 복귀한 오 시장은 7월 민선 8기 시장 임기 시작 전후로 조직 개편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오 시장은 더불어민주당이 다수인 서울시의회 상황을 고려해 업무·조직을 소폭 정비하는 데 그쳤다.
이번엔 국민의힘이 시의회 과반을 달성한 만큼 과감한 개편안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 서울시 관계자는 6일 “조직 개편은 오 시장이 복귀한 뒤 구체적으로 논의될 것”이라며 “시정 방향에 따라 조직 개편이 어느 정도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도 내부적으로 주요 실·국을 상대로 의견을 수렴하면서 여러 시나리오를 준비하는 상황이다.
우선 거론되는 부서는 박원순 전 시장의 핵심 사업이었던 시민사회와 도시재생 관련 조직이다. 시민참여 사업 등을 총괄했던 시민협력국의 경우 오 시장의 ‘서울시 바로세우기’ 대상 부서 중 하나다. 지난해 균형발전본부로 통합됐던 도시재생 업무도 대폭 축소·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신 균형발전본부 내부적으로 오 시장의 역점사업인 녹지 생태도심 개발 사업이 전진배치될 전망이다.
다른 시 관계자는 “시민참여를 강조하기 위해 꼭 국 단위 조직이 있을 필요는 없다는 의견이 있다”며 “도시재생의 경우 중앙정부에서도 축소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비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박 전 시장 시절 신설된 남북협력추진단(3급)도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윤석열 대통령의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에 따른 여성가족정책실 개편이나 ‘노동·공정·상생 정책관’ 개편 문제를 두고도 여러 시나리오가 나온다. 그러나 이들 부서의 변화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오 시장은 최근 내부적으로 여성 정책에 대한 불만 여론에 대해서도 “내 생각과는 다르다”고 선을 그은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오 시장이 선거기간 약자와의 동행을 강조했던 만큼 (이들 부서는) 큰 변화를 가져갈 동인이 떨어지는 편”이라며 “개편 방향이 확정되기 위해선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는 민선 8기 시정 운영 방향에 맞춰 다양한 개편안을 검토 중인 상태”라고 부연했다.
쇄신 인사 가능성도 제기된다. 박 전 시장이 2011년 취임 당시 1급 공무원 6명 중 5명의 사표를 받은 것처럼 이번에는 오 시장이 선거 전 1급 공무원 전원 사의를 받았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그러나 오 시장의 한 측근은 “일괄 사표설은 과거 사례로 유추한 것일 뿐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인사 문제는 인사 적체 요소와 조직의 장단점 등을 면밀히 검토한 뒤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김이현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