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부유식해상풍력 찬밥 신세 면할까

입력 2022-06-05 11:17

국민의힘 김두겸 후보가 울산시장에 당선되면서 민선 7기 울산의 역점사업인 부유식 해상풍력이 민선 8기에도 계속 추진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선거기간 동안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에 부정적 입장을 견지했던 김 당선인은 선거 직후에도 비슷한 의견을 내비쳤다.

김 당선인은 6·1지방선거 당선 직후인 지난 2일 기자회견에서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은 울산의 관점에서 볼 때 실질적 이익에 부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사업을 전면 재검토해서 실현 가능성과 울산에 이익이 되는지 철저히 살펴볼 것”이라고 밝혔다.

김 당선인이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 재검토 이야기를 꺼낸 것은 아직 해당 사업과 관련한 실질적인 진척 상황이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는 “이 사업의 경우 4만 5000개의 일자리 창출 방안, 발전 규모, 국내업체 참여 등 모든 면에서 구체화한 것이 없다고 판단한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국내 중소기업이 이 사업에 참여하고 이후 결과가 도출되지 않으면 큰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한다. 울산에 실질적 이득이 되고 실현 가능성이 보일 때까지 이 사업의 속도조절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울산시당 역시 환경파괴, 사업타당성, 외국기업 위주의 외주화, 국부유출 및 기술종속, 울산기업의 제한적 참여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부유식해상풍력 사업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반대해 온 어민들은 사업 철회에 크게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강신영 울산 부유식 풍력발전 사업 반대추진위 대표는 “울산 앞바다 해상풍력발전 사업이 백지화되기를 강력히 희망한다”며 “앞으로도 이 같은 어민들의 뜻을 지속적으로 새정부와 울산시에 전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울산시는 2030년까지 동해가스전 인근에 9GW급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다.

울산 부유식해상풍력은 정부로부터 발전사업허가를 받은 데 이어 환경영향평가, 해상교통안전진단, 사전재해 영향성 검토 등의 행정 절차를 밟으며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해상풍력발전 사업이 재검토할 것으로 보이지만, 속도 조절은 있어도 탄소 저감에 크게 기여하는 해상풍력을 완전히 포기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