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대 검찰청인 서울중앙지검에서 선거·노동 수사를 담당하는 부장검사들이 모두 사의를 표시했다. 검찰 안팎에선 6·1 지방선거 사건을 수사할 검사들이 사직하며 수사에 차질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더불어 검찰 인사가 빨라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2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최창민(사법연수원 32기) 공공수사1부장과 김경근(33기) 공공수사2부장, 진현일(32기) 형사10부장이 최근 사의를 밝혔다. 형사10부는 산업·안전 범죄 수사를 담당하고 있어 사실상 공공수사3부라는 평가를 받는다.
검찰 안팎에선 지방선거 다음 날 전통적 개념의 ‘공안 부장’들이 일괄적으로 사직 의사를 밝힌 배경에 눈길이 쏠렸다. 조만간 단행될 검찰 추가 인사를 앞두고 사표를 내는 검사들이 미리 사의를 밝히는 관례를 감안하면 이례적인 일은 아니라는 것이 검찰의 표면적 설명이다. 사의를 밝힌 검사들은 “개인적 이유”라는 입장을 전했다. 검찰 관계자는 “선거 사범 수사에는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지난 정부부터 이어진 ‘공안 홀대론’이 줄사표 현상의 기저에 있는 것 아니냐는 시선도 있다. 한 검사장 출신 변호사는 “개인적 이유로 서울중앙지검 공안 부장들이 모두 사표를 내는 건 전례가 없던 일”이라며 “공안을 홀대하는 분위기가 계속되는 것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겠느냐”고 말했다.
법조계에선 검찰총장 인선 전 검찰 추가 인사가 빠르게 단행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선거 사건 공소시효가 6개월인 만큼 수사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사 시계가 더욱 단축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법무부는 최근 승진 대상자들에 대해 인사검증 동의서 제출을 요청한 바 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