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간사를 맡고 있는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0일 이재명 인천 계양을 국회의원 후보의 ‘김포공항 이전’ 공약에 대해 “(대선 때) 제가 여러 가지로 분석해서 이건 안 된다고 얘기했었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대선 당시 송영길 대표가 무지하게 밀었고, 이재명 대선 후보도 상당히 관심 있었다”면서 “제가 국토위 간사인데 안 되는 거라고 얘기했었다. (대선 이후) 몇 달 사이에 그게 되겠느냐”라고 반문했다.
조 의원은 그러면서 김포공항 이전 공약에 반대한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우선 대도시에는 지금 대체공항을 만드는 추세다. 큰 공항에 문제가 생겼을 때 대체공항으로 이착륙 회항을 시킨다”면서 서울의 대체공항 필요성을 언급했다.
또 “슬롯이라고 해서 비행기 뜨고 내리는 횟수를 말하는데, 우리나라 북쪽에는 북한이 있어서 인천공항은 북쪽 슬롯을 사용하지 못한다. 게다가 군사 공격이 굉장히 많다”며 “그래서 슬롯을 획기적으로 늘리지 않는 이상 인천공항에서 제주로 가는 국내선을 처리할 여력이 현재는 없다”고 설명했다.
조 의원은 ‘중앙당 차원에서 공감한 공약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것이냐’는 질문에 “제가 아는 한 그렇다”고 답했다.
앞서 이 후보는 지난 27일 김포공항을 이전해 수도권 서부를 개발하자며 송영길 서울시장 후보와 정책 협약을 맺고 계양·강서·김포를 아우르는 수도권 서부 대개발 공약을 들고 나섰다.
이에 오영훈 민주당 제주지사 후보가 제주 현실 등을 고려해 반대 입장을 보이는 등 선을 긋는 움직임이 나타나자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민주당이 지역별 이해관계에 따라 콩가루가 됐다’고 비난하는 등 연일 공세를 펼치고 있다.
이 후보 측은 이 같은 반론에 “김포공항의 제주노선 기능은 인천공항에서 충분히 소화할 수 있고, SOC(사회간접자본) 확충으로 제주 접근성은 더 높아질 것”이라는 입장이다.
한편 비상대책위원이기도 한 조 의원은 최근 박지현 공동비대위원장의 쇄신론이 촉발한 당내 갈등에 대해서는 “비대위 안에서 (박 위원장이 제안한) 5가지 쇄신론에 대해 아무런 이견이 없었다”며 “쇄신론과 현실론이라고 하는 인식의 차이만 있었다”고 강조했다.
다만 “지방선거를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서 서로 간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토요일 비대위 회의에서 그걸 바로잡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