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최고 ‘사전투표율’이라고는 하지만…이번 사전투표, 여야 모두 ‘신중’

입력 2022-05-29 17:41 수정 2022-05-29 17:45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27일 서울 종로구선거관리위원회에서 관계자들이 투표함을 보관장소로 이송하고 있다. 연합뉴스

6·1 지방선거 사전투표율을 두고 여야 어느 쪽도 ‘유불리’를 장담하지 못했다.

최근 들어 사전투표가 더 이상 더불어민주당에만 유리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여기에다 대선과 달리, 17개 시·도의 사전투표율이 미치는 역할이 각 지역마다 제각각이라, 하나의 통일된 분석을 내놓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27~28일 이틀간 치러진 6·1 지방선거 사전투표율은 20.62%를 기록했다. 지방선거 사상 가장 높은 수치다.

하지만 역대 최고라고는 하기엔 조금 민망한 수치다. 기존 최고기록이었던 2018년 7회 지방선거 사전투표율(20.14%)보다 0.48% 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지난 3·9 대선의 사전투표율(36.93%)에는 크게 미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여야는 사전투표율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는 분위기다.

민주당 선대위 핵심관계자는 2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사전투표율이 지난 지방선거와 비교할 때 5~6% 포인트 정도 올랐으면 모를까, 지난 지방선거 때와 큰 차이가 없어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선대위 핵심관계자는 “각 지역 단위마다 사전투표율에 따른 유불리가 천차만별”이라며 “여야 어느쪽에 더 유리하다고 딱 잘라 말하기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한 민주당 의원은 “사전투표가 더 이상 민주당에게만 유리한 ‘무기’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실제 지난 대선의 사전투표율이 대선 사상 최고를 기록했지만 최종 결과는 국민의힘 후보였던 윤석열 대통령의 승리였다.

지금까지 20∼30대 젊은 유권자층에서 사전투표율이 대체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지난 대선부터 국민의힘이 민주당의 텃밭이었던 2030 세대를 적극적으로 끌어안는 전략을 취하는 것도 이런 변화의 한 요인이다.

27일 중구 다산동 사전투표소에서 투표 종료 후 관계자들이 보관소로 관내 투표함을 옮기고 있다. 2022.5.27 연합뉴스

지방선거의 특성도 고려해야 할 요인이다. 지자체 별로 단체장을 뽑는 지방선거는 한 표가 갖는 위력이 그 지역 내에 국한된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지방선거에서는 각 진영 지지층의 절박감이 대선에 비해 확실히 덜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영남과 호남처럼 정치성향이 한쪽으로 치우친 지역에서는 대선과 달리 지방선거의 투표 열기가 낮다는 설명이다.

이번 사전투표율 추이가 각 지역별로 엇갈린 것도 이 때문이다. 마지막까지 박빙 판세가 펼쳐지고 있는 경기와 인천·충남·강원 지역의 사전투표율은 2018년 지방선거 때보다 상승했다.

반대로 우열이 확실히 갈리는 영·호남 지역의 경우에는 사전투표율이 오히려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정현수 손재호 김승연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