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교육감 심판… 교육 교육감 뽑아달라”

입력 2022-05-29 18:00 수정 2022-05-29 18:00


▲조영달(서울)
*성별: 남성
*연령: 61
*현직업: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
*학위: University of Pennsylvania 대학원 졸업 철학박사
*주요 경력
(현)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
(전)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학장
*전과유무: 없음
*1번 공약:
○ 정치 이념교육에서 맞춤형 교육시대로
- 서울시교육청 <본부> 수준의 상시 조직으로 구성 운영
- 이념교육 탈피, 교원단체 활동 정상화, 학교교육 문제해결
- 민주노총 가입 불법화, 노조가입 대상에서 부장교사 제외
- <학생 개별 맞춤형 학교교육> 규칙 제정과 기본계획 수립
- 서울형 혁신학교 폐지, 자사고·국제고·외국어고 유지·감독강화
- <서울 자율형 학교체제>를 구축하고 실질적 학교 선택권보장
- 사립학교법폐지·사학진흥법제정, 사학의 교사선발·운영자율 보장
- 초등학교 놀이중심 영어·중학교 제2외국어 선택 교육 강화
- 교육콘텐츠진흥원 설립
- 서울교육 3자위원회 설치, 시민·학부모·서울시 대표로 구성, 주요 교육정책 결정

(자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조영달 서울시교육감 후보는 박선영 조전혁 윤호상 후보와 함께 보수 후보로 뛰고 있다. 현직인 조희연 교육감에 맞서기 위해 단일화를 시도했지만 여의치 않은 상태다. 조영달 후보는 ‘정치 이념교육에서 맞춤형 교육시대로’를 1번 공약으로 내걸었다. 진보진영에서 학교를 이념투쟁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혁신학교 폐지와 자율형사립고, 외국어고를 유지하되 감독을 강화도 눈에 띈다. 다만 윤석열정부가 문재인정부에 이어 추진하기로 한 고교학점제 도입에는 부정적이었다. 여건이 성숙될 때까지 중단하지 않으면 고교 교육이 붕괴된다는 입장이었다.

본보의 전국 교육감 후보 인터뷰는 대면과 전화, 서면으로 진행됐다. 조 후보와는 서면으로 진행됐으며 전국 교육감 후보 57명 중 유일하게 단답형 혹은 짧은 문장으로 답변해왔다. 아래는 일문일답.

-후보님이 교육감이 되면 학생들은 어떤 점이 좋아지는가.
“방과후 전문학교 등으로 사교육 수요를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학원에 다닐 필요가 없어지고 학생들의 학습 의욕이 솟아날 겁니다.”

-당선 시 앞으로 4년 동안 ‘이건 꼭 한다’ ‘이건 꼭 안 한다’ ‘이건 꼭 없앤다’라는 게 있다면.
“제대로 보듬고 제대로 돌보는 학교교육을 꼭 하고 싶습니다.”

-가장 자랑스러운 커리어가 있다면.
“서울대 사범대 학장입니다. 학생들을 도울 수 있는 교사를 양성을 했습니다.”

-가장 강력한 경쟁자는 누구이고 상대 후보보다 강점이 있다면.
“조희연 후보다. 조희연 후보는 자기 것을 지키고 싶어하고, 조영달은 교육을 위해 자신의 것을 버렸습니다.”

-고교학점제에 대한 입장은.
“여건이 갖춰질 때까지 중단해야 합니다. 여건이 성숙되지 않은 학점제는 고교 교육을 와해시킬 겁니다.”

-내년 논의가 본격화돼 2024년 2월에 발표 예정인 2028학년도 대입 정책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 할 점이 있다면?
“교육적 공정성입니다.”

-투표하기 직전의 유권자가 눈앞에 있다면 무슨 말씀을 드리고 싶은가.
“정치 교육감을 심판하고 교육 교육감을 뽑아주시길 바랍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황서량 인턴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