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 합동수사단(합수단)이 테라USD(UST)와 루나 개발사 테라폼랩스의 전직 개발자를 소환 조사했다.
테라와 루나는 최근 가치가 99% 이상 폭락해 세계 가상화폐 시장에 충격을 줬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1호 지시로 부활한 ‘여의도 저승사자’ 남부지검 합수단이 테라 사태에 본격적으로 칼날을 겨눌지 주목된다.
2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합수단은 최근 테라폼랩스 전 직원 A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A씨는 테라 블록체인의 초기 개발 작업에 관여했던 개발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테라USD와 루나 코인 폭락으로 손실을 본 투자자들은 테라폼랩스 권도형 최고경영자(CEO) 등을 서울남부지검에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 등의 혐의로 고소했다.
피해자들은 권 대표 등 경영진이 계획적으로 치밀한 ‘폰지 사기’(다단계 금융사기)를 저질렀다고 주장하고 있다.
검찰은 A씨를 비롯한 테라폼랩스 관계자들의 진술 등을 토대로 권 대표 등이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의 설계 결함을 알고도 개발을 강행했는지 등 사기 혐의 성립 여부를 들여다볼 계획이다.
테라는 1코인이 1달러에 연동되는 스테이블 코인으로 주목을 받았다. 이 같은 가치를 유지하려면 테라 코인의 가치가 담보돼야 한다. 테라는 현금이나 국채 등이 아닌 또 다른 가상화폐인 루나에 의해 가치가 뒷받침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테라의 가치가 1달러보다 떨어질 경우 테라를 루나로 바꿔준 후 테라는 소각하고, 다시 테라의 가치가 올라가면 루나를 테라로 바꾸고 루나는 소각하는 식이다. 이 같은 수요 공급 원리로 가치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게 테라폼랩스 측의 주장이었다.
하지만 금융업계에선 코인에 투매가 일어났을 경우 두 코인의 가격이 동반 급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사실상 코인의 가치를 담보하기 어렵다는 시각이었고 실제 두 코인의 가치가 99% 이상 폭락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테라폼랩스는 테라를 예치할 경우 연 20% 이자를 지급하는 식으로 투자자를 모집해왔다. 코인 개발 초기에는 내부에서도 ‘알고리즘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권 대표는 최근 테라와 루나가 폭락한 후 다수 투자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테라 2.0’ 출범을 강행해 논란을 일으켰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