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박지현 민주당 공동상임선대위원장이 당내 쇄신을 요구하며 주장한 ‘586 용퇴론’에 대해 “특정 세대 전체를 통으로 물러나라고 하는 것은 정합성도 떨어지고 불합리한 얘기”라고 비판했다.
우 의원은 27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특정 정치인들을 평가해서 문제가 있는 분들을 걸러내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특정 세대 전체를 통으로 물러나라고 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 의원은 “특히 이번 선거에서 이 세대의 후보자가 많이 나가 있다. 그런데 비대위 차원에서 공천해놓고 물러나라고 하면 (이분들이) 선거를 어떻게 치르겠느냐”며 “(이 논의는) 선거 때는 부적절했다. 선거 이후에 당 쇄신에 관한 이야기를 할 때 부적합한 정치인들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민에게 사과도 하고 혁신의 노력을 통해서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는 취지는 공감하지만 결과적으로 분란이 돼 버렸다”고 덧붙였다.
진행자가 ‘586이 꼰대·기득권이 됐다는 지적도 있다’고 묻자 우 의원은 “586세대보다 위에 있는 세대는 괜찮고 586만 물러가라 이런 것도 좀 웃기다. 오래 해 먹고 나이가 있어서라면 우리보다 더 나이 많은 오래된 분부터 물러가라는 게 정합성 있는 거 아닌가”라며 반문했다.
그는 자신의 불출마선언 이유를 설명하며 “하도 물러가라니까 대표적인 사람 한 명 정도는 해줘야 그만 공격하겠구나 싶어 자기희생 삼아 했다”며 “당하는 우리도 힘들다”고 한탄했다. 그러면서 “나는 불출마 선언을 했기 때문에 이런 말을 떳떳하게 한다”며 “왜 전체 세대를 다 물러가라고 하느냐. 여기에 대해서 답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586 용퇴설’을 재차 비판했다.
우 의원은 1962년생, 81학번으로 ‘86세대 간판’으로 불린다. 그는 지난 1월 ‘86 동반 퇴진’ 필요성을 언급하며 차기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바 있다. 지난 3월 대선 패배 이후에는 서울시장 불출마 뜻을 밝혔다. 최근 민주당 21대 국회 하반기 국회의장 경선에서 김진표 의원에게 패배했다.
서민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