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시도지사 후보 55명 중 ‘동물복지’ 관련 공약을 제시한 후보는 32명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17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동물권대선대응연대(이하 대응연대)는 17개 광역자치단의 원내정당 후보자 55명의 공약을 살펴본 결과 동물복지 공약이 전무하거나 그 내용이 부실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대응연대가 중앙선관위 후보자 5대 공약, 후보별 블로그, 인터넷 기사 등을 참고해 파악한 결과 24일 기준 동물복지 공약을 약속한 이들은 전체 55명 후보 중 32명(58.2%)에 불과했다. 나머지 23명(41.8%)의 후보는 어떠한 동물복지 공약도 제시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대응연대는 “국내 반려인구가 700만 명에 이르며 농장동물이 연 10억 마리가 넘고, 실험에 이용되는 동물도 2021년 기준 414만 마리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동물복지는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의제”라며 “그럼에도 시도지사 전체 후보 중 절반 가까운 이들이 단 한줄의 동물복지 공약조차 제시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참담함을 느끼게 한다”고 밝혔다.
대응연대에 따르면 제시된 동물복지 공약들도 대부분 반려동물에 한정돼 농장동물 및 전시동물, 실험동물 등 인간을 위해 희생되는 동물들이 소외되는 현상을 보였다.
반려동물 복지 공약 외에 농장동물 또는 전시·야생동물에 대한 공약을 제시한 후보는 단 15명에 불과했으며, 실험동물을 언급한 것은 인천광역시장 후보가 유일했다.
이들은 “지역 발전, 경제 회복, 민생 정책 등 인간 중심적 공약이 우선시되는 한계가 있다”며 “그럼에도 동물을 소외시키지 않고 생명을 보호하는 정책이 지속적으로 발굴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대응연대는 또 “반려동물 관련 공약 역시 과거의 공약을 재탕삼탕하거나 비슷한 공약을 돌려막기 하듯 내놓은 것들도 있다”며 “실제 지역에서의 동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민이 있었는지 의심케 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동물은 반려동물만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전시동물, 길고양이, 공장식 축산 속 농장동물, 식용개 등 대한민국 사회가 만들어 놓은 동물복지 저해 문제들을 통합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응연대는 “광역자치단체장은 앞서 제시한 공약들과 함께 보다 거시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촘촘한 동물복지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민관협력체계 및 행정기관 동물보호 역량 강화 ▲동물과 더불어 살기 위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 ▲동물의 이용과 고통을 줄이기 위한 정책 수립 및 시행 등을 요구했다.
황서량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