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현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26일 성희롱성 발언 파문을 일으킨 최강욱 의원의 징계 문제에 대해 “당의 비상대책위원장으로서 필요하다면 비상 징계 권한도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이날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오늘 중 윤호중 비대위원장과 논의할 예정이다. 조속히 처리하고 넘어가야 할 문제”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징계 시점을) 지방선거 이후로 넘기는 것은 적절치 못한 자세”라고 했다.
박 위원장은 전날 선대위 회의에서도 “비대위의 비상 징계 권한을 발동해서라도 최 의원의 징계 절차를 합당하고 조속하게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윤 위원장은 “윤리심판원에 징계 절차를 넘긴 것도 비대위 의결사항”이라며 사실상 거부의 뜻을 드러냈다.
이번 발언은 박 위원장이 다시 한번 조기 징계를 요구하며 압박에 나선 것이다.
박 위원장은 또 전날 비대위에서 갈등을 촉발한 ‘86세대(80년대 학번·60년대생) 용퇴론’과 관련해선 “다 은퇴해야 한다고 말씀드린 적은 없다”면서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민주주의를 이룬 성과를 존경하지만, 모두가 다 그렇진 않다. 민주당의 변화를 어렵게 만들고 시대와 발맞춰 나가는 것이 어려운 분들도 있다”며 “86세대 용퇴론은 사과 기자회견에는 없던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회견에서 말한 혁신안의 내용에 좀 더 집중해주시면 어떨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며 “자극적 포인트로 삼는 건 지양해주셨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같은 당 김용민 의원이 ‘사과로는 선거에서 이길 수 없다’고 지적한 것과 관련해선 “저는 반대로 생각한다. 거듭 사과하고 민주당을 바꾸겠다고 말씀드리면서 많은 국민이 민주당을 쳐다봐주시는 것 같다고 느낀다”고 반박했다.
박 위원장은 “이 과정을 통해 민주당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당 지지율도 끌어올릴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사과라는 건 받는 사람이 됐다고 할 때까지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