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범죄가 ‘포스트 코로나’ 등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는 수법으로 진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추경 손실보상금’ 등 각종 정부 지원금 지급을 미끼로 돈을 가로채는 수법이 유행하고 있다.
26일 경찰청에 따르면 신용보증재단 등을 빙자해 ‘귀하는 추경 손실보상금 지급 대상자입니다’라는 내용의 보이스피싱 문자가 대량으로 발송된 사례가 발견됐다. 그동안 코로나 방역지원금, 소상공인 지원 대출 등을 빙자한 경우가 많았는데 손실보상을 위한 추경 예산안 논의가 본격화되자 손실보상금 지급을 미끼로 활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와 피해액이 모두 지난 3월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 1750건이던 보이스피생 발생건수는 3월에는 2067건, 지난달에는 2497건으로 계속 늘고 있다. 피해액도 지난 2월 400억원에서 지난달 606억원으로 늘었다.
경찰청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범죄에서 방심은 절대 금물”이라며 “등장한 지 몇 년이 지난 ‘대출사기’ 시나리오도 여전히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