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박지현 공동비대위원장의 ‘586(50대·60년대생·80년대 학번)세대 용퇴론’에 대해 “기업에서도 명예퇴직할 때 존중하고 예우한다”며 날을 세웠다.
김 의원은 25일 CBS 라디오 ‘한판승부’에 출연해 앞서 박 위원장이 “586의 역할은 거의 완수했다. 아름다운 퇴장을 준비해야 한다”며 용퇴론을 꺼낸 것과 관련해 “이런 내용은 당내에서 함께 고민하고 토론하고 공감대를 거치는 것들이 있었어야 됐는데 너무 갑작스럽게 불쑥 좀 튀어나오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당의 586세대 선배들의 긍정적인, 명예로운 것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 용퇴하라, 나가야 된다’는 등 부정적으로만 인식되도록 낙인찍는 것이 과연 바람직하냐. 나는 아니라고 본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일반 기업이나 회사에서도 명예퇴직으로 사람들을 내보낼 때 굉장히 존중하고 예우하고 명예퇴직 수당도 주고 있다”면서 “그런 것도 없이 갑자기 ‘야, 너희 나가’라는 식이면 얼마나 폭력적이고 위압적이냐, 공감대도 형성 못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선거를 앞두고 하는 사과가 과연 효과가 있나”라며 “혁신하고 쇄신하고 결과물로 보여줘야지 말로 이렇게 약속하고, 사과하는 건 아니다”고 비판적 견해를 거듭 밝혔다.
이어 “(지난 대선 기간에 이재명 후보가 정치개혁이 필요하다고 선언했던 것처럼) 정치개혁과 관련된 여러 가지 과제를 구체적으로 약속했기 때문에 회의체를 통해 결과물을 내놓고 ‘이렇게 혁신하고 쇄신했다’는 것을 국민께 보여드리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선거가 끝나면 바로 시작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박 위원장은 최근 당내 성비위로 제명된 박완주 의원에 대한 조치와 최강욱 의원의 성적 발언 논란에 강경하게 대처했다. 이를 두고 민주당 내부 강성 의원들과 당원들, 지지층에게 ‘내부총질’이라는 비난을 받았다.
그는 지난 24일 ‘대국민 호소’ 기자회견을 열어 586세대 용퇴와 팬덤정치 극복 쇄신안을 제기했는데, 이를 두고 민주당 지도부 내부에서 반발이 나오면서 내분이 일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25일 비공개회의에서는 양측이 책상을 치고 언성을 높여가며 정면 충돌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