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제원 국민의힘 의원은 25일 법무부가 공직 후보자 검증 기능을 담당하는 기구인 인사정보관리단을 설치하면서 논란이 일자 “한동훈이 법무부 장관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며 “이런 우려들에 대해 이해가 전혀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장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한 장관이 영원히 법무부 장관을 할 것도 아니고, 윤석열 대통령이 인사 문제를 전적으로 법무부에 맡길 분은 더더욱 아니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 문제는 이미 인수위 시절 결정된 사안이다. 당시엔 논란이 없었는데 왜 이제 와서 논란이 되나”라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장관은 대통령의 측근 인사이기 때문에 야당과 일부 언론의 우려를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장 의원은 또 향후 정부의 인사검증 시스템이 법무부뿐만 아니라 경찰과 국정원 등으로 다원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향후 경찰 수뇌부 정비가 완료되면 경찰 내 정보 파트에도 인사검증 기능을 둘 것으로 보인다”며 “‘인재 추천→세평→검증’으로 이어지는 인사 시스템이 ‘인사혁신처-법무부-경찰’이라는 다원화된 채널 속에서 가동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민들께서 허락하신다면 국정원에도 인사검증 부서를 두면 좋을 것 같다”며 “정치 개입 차원이 아닌 인사검증 부서를 정식으로 두는 방식”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각 부처에서 다각도로 검증된 인사검증 보고서를 대통령실 인사기획관이 취합해 종합 분석한 자료를 대통령께 보고하고, 이를 토대로 최종 낙점하는 이상적인 인사 검증 시스템을 갖추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당선인 비서실장을 지내던 당시 인사를 다뤄본 경험을 들며 “사람에 대한 평가는 그야말로 천차만별(千差萬別: 세상에 똑같은 건 하나도 없다)이었다. 사람에 대한 호불호나 평판은 평가를 하는 사람에 따라 180도 달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인물에 대한 평판을 들어보길 원했다”고 전하며 “다양한 시각에서 인사를 검증하는 시스템은 건강한 견제와 투명한 인사를 할 수 있는 근간이 될 것”이라고 했다.
장 의원은 또 한 장관을 향해 “더더욱 몸을 낮추고 공정한 인사검증 시스템을 만드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대변인은 전날 법무부에서 인사정보관리단 설치를 알리자 논평을 내고 “‘검찰공화국’을 향한 계획이 노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그 정점에 최측근 한동훈 장관이 있다. 한 장관은 법무부 장관이자 민정수석이며 인사수석이자 검찰총장이다. 정말 소통령 한동훈이라고 불러도 이상하지 않게 됐다”고 비판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