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5년간 450조 투자,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주도한다

입력 2022-05-24 14:05

삼성은 향후 5년간 총 450조원을 투자한다고 24일 밝혔다. 이중 국내 투자액은 360조원으로 전체 투자의 80%가 국내에서 집행될 예정이다.

이번 투자는 지난 5년과 비교해서 총 120조원(30% 이상) 증가한 것이며, 걱내는 110조원(40%) 증가한 금액이다.

이번 투자의 핵심은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이다. 삼성은 선제적 투자 및 차별화된 기술력, 새로운 시장 창출을 통해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을 주도하며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1위인 메모리 초격차를 확대하고, 팹리스 시스템반도체/파운드리에서 역전하면 반도체 3대 분야를 모두 주도하는 초유의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삼성은 지난 30년간 선도해 온 메모리 분야에 향후 5년간 지속투자해 ‘초격차’ 위상을 강화하기로 했다. 공정 미세화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소재/신구조에 대한 R&D를 강화하고, 반도체 미세화에 유리한 EUV 기술을 조기에 도입하는 등 첨단기술을 선제적으로 적용할 방침이다.

시스템반도체 분야 투자도 강화해, 4차 산업혁명에 필수적인 반도체 경쟁력 확보한다는 목표다. 삼성전자는 ▲고성능/저전력AP ▲5G/6G 통신모뎀 등 초고속통신 반도체 ▲고화질 이미지센서 등 4차 산업혁명 구현에 필수불가결한 팹리스 시스템반도체 및 센서 중심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에 신성장 팹리스 시스템반도체 관련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파운드리 사업은 기존에 없던 차별화된 차세대 생산 기술을 개발/적용해 3나노 이하 제품을 조기 양산할 계획이다. 차세대 패키지 기술 확보로 연산칩과 메모리가 함께 탑재된 융복합 솔루션을 개발해 업계 선두권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기로 했다.

바이오 분야도 공격적인 투자로 신성장동력을 확보해 ’제2의 반도체 신화’를 구현한다는 목표다. 삼성은 ‘바이오 주권’ 확보를 위해 공격적인 투자 기조를 이어나가며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을 확대하는 등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에도 나선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현재 건설 중인 4공장에 이어 5/6공장 건설에 나서는 등 더욱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생산기술/역량을 고도화해 ‘CDMO 생산량 1등‘을 넘어 ’압도적 글로벌 1위‘를 확고히 할 계획이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