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보건소 5곳 ‘탈코로나’…820일 만에 일반업무 재개

입력 2022-05-23 10:29 수정 2022-05-23 10:33

광주지역 보건소가 ‘탈(脫) 코로나’ 대열에 합류했다. 2020년 2월 24일 문을 닫은 지 820일 만에 업무를 정상화했다.

광주시와 5개 자치구는 지난달 25일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이 2급으로 낮아지고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됨에 따라 감염병 방역·진료 등에 투입했던 보건소 인력을 23일부터 일반업무에 복귀시켰다고 밝혔다.

그동안 코로나 총력 대응을 위해 중단된 자치구 보건소 5곳의 일반업무가 2년 3개월여 만에 재개된 것이다. 시와 자치구는 포스트 오미크론 단계별 대응 전환 정책을 감안해 일상회복과 주민 불편을 줄이려는 조치라고 설명했다.

한동안 코로나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재택치료자들도 감당하기 힘들었으나 광주지역 최근 확진자는 하루 500명 이하로 감소했다. 23일 광주지역 코로나 확진자는 342명, 위중증 환자 수는 5명에 머물고 있다.

보건소들이 ‘탈 코로나’에 들어감에 따라 광주시민들은 이날부터 코로나 이전과 같은 수준의 보건소 민원 서비스를 받아볼 수 있게 됐다.

내과와 치과 등 각종 일반 진료와 제증명 발급은 물론 건강진단 결과서(보건증)와 일반건강진단서, 운전면허 적성검사, 흉부 X-ray 검사 등 종전 보건소에서 제공하던 각종 서비스를 수월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시민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구강 보건과 금연·절주 사업, 치매 환자 관리 프로그램도 정상적 운영에 들어갔다.

광주지역 보건소는 코로나 집중 대응을 위해 대부분 인력을 방역 업무에 대부분 투입하면서 일반 진료와 제증명 발급 등의 업무를 잠정 중단해왔다.

위생업계 종사자들이 3개월에서 1년 주기로 발급받아야 하는 보건증의 경우 해당 업무가 민간 의료기관으로 이관돼 해당 시민들은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떠안기도 했다.

식당 아르바이트를 하는 김모(27)씨는 “저렴한 비용만 있으면 되는 보건소 대신 민간병원에서 보건증을 발급받으려니 3만원을 부담해야 했다”며 “그마저 검사비용이 천차만별이라 불편이 컸다”고 밝혔다.

하지만 방역 최전선을 맡아온 보건소 의료체계가 다시 고유의 일반 의료 대응체계로 전환하면서 시민들은 보건증, 건강진단 등 다양한 검사비용과 제증명 발급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됐다.

코로나 감염이 의심되거나 역학적 연관성이 있으면 확진 여부를 가리기 위한 각종 검사를 하는 광주권 선별진료소는 당분간 문을 닫지 않고 운영된다.

남구 보건소 관계자는 ”일상회복이 완전하지 않은 시점에서 의료체계를 전환하게 됐지만, 최상의 보건행정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신종 변이 등이 발생하고 감염이 다시 확산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