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22일 미국에 2025년까지 로보틱스 등 미래 먹거리 분야에 50억 달러(약 6조3000억원)를 추가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이날 오전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방한 중인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 만나 직접 영어로 한 연설을 통해 이 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정 회장은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미국 기업과 협업을 강화하기 위해 2025년까지 50억 달러의 추가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회장이 밝힌 추가 투자 분야는 로보틱스와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 인공지능(AI) 등이다.
정 회장은 “이를 통해 (현대차그룹이) 고객에게 더 좋은 편의성과 안전을 제공하는 회사로 성장할 수 있다”면서 “현대차그룹은 미국의 소중한 고객에게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세계 탄소중립 노력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또 2030년까지 무공해차 판매를 40∼50%로 하는 바이든 행정부의 목표를 달성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은 전날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 공장과 배터리셀 공장 등 전기차 생산 거점을 설립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날 발표로 현대차그룹은 전날 발표한 약 55억 달러와 더불어 미국에 총 100억 달러 이상의 신규 투자를 하게 됐다.
이번 방한 기간 중 바이든 대통령과 단독으로 면담하고 투자 발표까지 한 것은 정 회장이 유일하다.
정 회장은 바이든 대통령을 향해 “방한 기간 시간을 내줘서 매우 감사하다. 진심으로 영광”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바이든 행정부가 우리의 미국 사업에 지속적인 지지를 해주기를 정중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도 정 회장과 면담 후 기자회견에서 “(현대차가) 미국을 선택해준 데 대해 감사하며 미국은 현대차를 실망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 제조업에 대한 100억 달러(약 13조원)가 넘는 투자를 발표하게 돼 기쁘다”면서 이같이 감사를 표했다.
그는 “첨단 자동차 기술에 대한 50억 달러(약 6조원)가 넘는 투자와 조지아주 사바나에 55억 달러(약 7조원)를 들여 짓는 공장이 내년 1월까지 8000개가 넘는 일자리를 만들 것”이라면서 “이 시설은 2025년부터 최신 전기자동차와 배터리를 만들 것이다. 이는 미국인에게 경제적 기회”라고 기대했다.
또 “이번 정부에서 제조업이 미국으로 돌아오고 있다. 이번 정부 들어 54만5000개의 제조업 일자리를 만들었다”고 자찬하고 “현대차 덕분에 미국의 자동차산업이 전환되고 있고 미래 전기 산업에서 미국의 목표가 속도를 내게 됐다”고 밝혔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