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대형 쓰레기 소각장 2030년까지 건립

입력 2022-05-22 12:12

광주시는 2030년까지 도심 외곽에 4000억원을 들여 쓰레기소각장을 건설한다. 하루 600t 처리 용량의 대형 소각시설을 만들어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땅에 묻지 않고 모두 태우게 된다.

광주시는 “전국 광역단체 중 유일하게 보유하지 못한 소각장을 신설하기 위해 하반기 용역을 발주한다”고 22일 밝혔다. 시는 고질적 주민 민원 등을 고려해 지하에 소각장을 설치하고 지상에는 공원, 수영장, 복지센터, 게이트볼장 등을 건설하기로 했다.

경기 하남, 평택과 충남 천안 등을 본떠 소각시설을 지하화한다는 것이다. 시는 자연 친화적 소각장을 가동하고 소각로 꼭대기 굴뚝 높이는 100m 이상으로 높여 환경영향 물질 배출에 대한 인근 주민들의 우려를 씻기로 했다.

쓰레기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소각장은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라 광주지역 두 번째 소각시설로 문을 연다.

대표적 혐오시설로 인식돼 우여곡절 끝에 2000년 9월 713억원을 들여 준공, 2001년 12월부터 본격 가동됐던 광주 상무소각장은 2016년 12월 폐쇄됐다.

도심 한복판 소각장에서 악취와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배출된다는 논란이 끊이지 않아 착공 때부터 이어진 주민 집단민원이 가동 이후에도 지속된데다 도시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라는 여론에 따라 사용 연한 20년이 되기 전에 결정한 고육지책이었다.

광주 상무소각장 공장동 부지 1만 12158㎡와 인근 부지 2만여㎡는 대형 도서관과 공연장 등을 갖춘 복합문화시설로 내년까지 구조변경을 마친다.

82.5m 높이의 소각로, 연기를 내뿜던 굴뚝, 쓰레기 반입공간 등은 문화적 요소를 덧씌운 특화 시설로 거듭 태어난다.

시는 상무소각장 폐쇄에 따라 그동안 2020년 기준 하루 550t의 쓰레기를 대부분 매립방식으로 처리해왔다. 470t은 양과동 광역위생매립장에 묻고 80t은 소형 민간 소각장에 맡겨왔다.

하지만 양과동 매립장 2-1공구가 내년 3월 포화상태에 달하고 올해 말 완공되는 2-2공구 역시 2029년이면 더 매립이 어렵게 될 것으로 예상돼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한 소각장 건설이 불가피해졌다.

여기에 정부가 지난해 7월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을 공포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3개 시·도는 2026년 말, 광주시 등 다른 광역단체는 2030년부터 종량제 봉투로 수거하는 생활폐기물 직매립을 더 할 수 없게 된다.

일명 생활 쓰레기는 선별해 재활용하거나 소각 후 재만 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시는 생활폐기물의 매립이 장기화하면서 매립장 부족과 찌꺼기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예방하려는 조치라고 밝혔다.

시는 가연성 폐기물의 경우 태운 뒤 소각재만 매립하면 쓰레기를 그대로 묻을 때보다 10분 1 이하로 부피를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쓰레기 소각장 확충에 40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소각장이 들어설 입주 인근 주변 주민들에 대한 인센티브를 포함한 금액이다.

시는 올 하반기 폐기물 처리공법, 적정 규모 등 구체적 추진방안을 결정하는 용역 발주에 이어 5개 자치구 지역공모를 통해 필수 공공시설인 쓰레기 소각장의 최종 후보지를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전국 광역단체 중 광주에만 대형 소각장이 없다”며 “올해 하반기부터 지역사회의 지혜를 모으기 위한 공론화 작업을 거쳐 시민들의 공감대 속에 소각장을 가동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