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은 19일 “북한의 핵실험 준비는 다 끝났고 타이밍만 보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또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징후도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 내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지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 ‘레드라인’을 넘는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가 비공개로 진행한 전체회의에서 이같이 보고했다고 정보위 여야 간사인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자들과 만나 설명했다.
국정원의 국회 정보위 보고를 종합하면, 북한의 7차 핵실험 강행 여부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선택에 달린 셈이다.
김 의원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가능성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한 일정에 맞춘 것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징후를 포착했기 때문에, 거의 준비는 완료 단계에 있기 때문에 어떤 시점에서 미사일이 발사되고 핵실험을 하더라도 이상하지 않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발사 가능성이 있는 미사일 종류에 대해선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급으로 추정하는데 따로 보고는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북한의 코로나19 상황에 대해서는 5월 말∼6월 초쯤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국정원은 백신에 대한 북한의 입장이 최근 들어 달라진 것으로 보고 있다.
하 의원은 “백신에 대한 북한의 입장이 이전까지는 ‘별로 효과가 없고 맞을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었는데, 5월 17일 노동신문이 ‘백신 접종도 코로나를 막는 데 효과가 있다’고 보도한 것을 기점으로 공식적으로 바뀌기 시작했다”며 국정원 보고 내용을 전했다.
앞서 노동신문은 “왁찐(백신) 접종을 진행해야 한다”면서 북한에 아직 반입되지 않은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팍스로이드’의 효용성에 대해 “사망 위험성을 89% 낮출 수 있다”고 이례적으로 전했다.
국정원은 그러나 북한이 우리 정부의 코로나19 의약품 지원에 대해 공식 응답은 하지 않았으나, 실질적으로 거부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대외에서 지원받는 우선순위는 중국이 1순위이고 그다음에 국제기구, 미국과 한국은 제일 마지막일 것”이라면서 “중국을 통해 일단 의약품을 지원받아 해결하고자 하는 것 같고, 중국과 외부의 지원을 받는다면 상황이 통제 가능하다고 보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북한 내 코로나19 대확산된 계기로 지난 4월 개최된 열병식을 지목했다.
국정원은 이어 “중국과 기차 왕래가 됐었기 때문에 기차를 통해 많이 반입됐던 것 같다“면서 “광범위하게 퍼진 계기가 물론 4·25 열병식 이후인데, 열병식 때 군인뿐 아니라 전국에서 경축 대표들이 평양에 들어왔는데 전국으로 다시 돌아가면서 촉발된 가능성이 현실적으로 제일 높아 보인다”고 설명했다.
하 의원은 북한이 매일 발열자 숫자를 공개하는 것에 대해 “관리하고 있다는 걸 보여줘야 북한 민심도 진정되기 때문”이라며 “외부에 대외 지원을 호소하기 위해 발표하는 것이 아니라, 민심 통제 관리를 위해 발표하는 것”이라고 국정원 보고 내용을 인용해 설명했다.
조선중앙통신은 18일 북한의 신규 발열 환자가 26만여명이라고 19일 보도했다. 누적 발열 환자는 197만8230명으로, 200만명에 육박한 상태다.
신용일 기자 mrmonst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