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망 안긴 윤 대통령 5·18 기념사… 헌법 수록 언급 없어

입력 2022-05-18 15:19 수정 2022-05-18 17:51

광주시민들은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 참석한 18일 정부 주관 국립5·18민주묘지 기념식에서 5월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데 대해 대부분 실망한다는 반응이다.

특히 5월 단체 등은 “당초 기대한 5·18 헌법 전문 수록에 관한 명확한 입장이 기념사에 포함되지 않았다”며 “원칙적·총론적 동의보다는 개헌 개정안 발의 등 각론을 구체적으로 제시했어야 마땅하다”고 아쉬워했다.

광주지역 시민단체도 “윤 대통령이 예상과 달리 기념사에서 직접적 메시지를 내놓지 않았다”며 “5월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을 위한 윤 대통령의 향후 행보를 주의 깊게 지켜볼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공법단체인 5·18민주화운동 공로자회 임종수 회장은 이날 “윤 대통령 발언은 크게 실망스럽지만 얼마전 개최된 국민의 힘 5·18정책 간담회에서 정책위의장 등이 여당 차원의 적극 추진 의사를 표명한 데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임 회장은 이어 “오는 7월 헌법개정 논의가 본격화될 ‘국회 5월 단체 간담회’에서 5·18정신의 전문 수록을 전제로 한 헌법 개헌을 촉구하는 명확한 입장을 표명하겠다”고 밝혔다.

제42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는 논평을 통해 유감스럽다는 입장을 냈다.

행사위는 ”헌법 전문 수록을 약속하고 5·18 역사 왜곡을 반대한다는 윤 대통령이 기념사에서는 아무런 의지를 나타내지 않았다”며 “기념사는 5·18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 현시대 과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광주시민들은 두루뭉술한 윤 대통령의 발언에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자영업자 박찬규(55·광주 신창동)씨는 “윤 대통령이 5·18을 자유민주주의 헌법 정신 자체로 규정한 것은 큰 의미가 있지만 포괄적 선언에 그쳤다”며 “대선과정에서 수차례 약속한 5·18 헌법 전문 수록을 꼭 실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직장인 송정기씨(54·광주 일곡동)는 “헌법 전문 수록에 원칙적 동의를 한 것으로 이해한다”며 “6월 지방선거를 겨냥한 정치적 셈법이라는 오해를 받지 않으려면 헌법 개정안 발의 등 즉각적 실천으로 옮겨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다수 광주시민들은 “유튜브 등에 차고 넘치는 5·18 왜곡과 폄훼를 막기 위해 헌법 전문 수록은 당연하다”며 “국민통합 시금석이 될 오월정신을 후손들이 이어가도록 헌법 전문에 반드시 올려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대선 후보시절인 지난해 11월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은 자리에서 5·18 정신은 헌법 전문에 반드시 올라가야 한다고 적극적 찬성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