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은 18일 5·18 정신 헌법 조항 수록에 대해 “당의 의견을 한번 수렴해 볼 때”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광주 민주화운동을 어떤 특정 정당이 개인 사유물화했다”며 “그것을 또 우리 당은 그 점에 관심을 가지지 못하고 방치해, 반성할 점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5·18 민주화운동의 민주주의 정신, 권위주의 정권의 탄압에 맞서서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정신들은 특정 정당이나 개인의 사유물이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기리고 계승해 나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7월 대선후보 시절 헌법 전문에 5·18 정신을 수록하는 것에 찬성했다. 김 위원장은 “저희 당에서 이 부분에 대해서 충분한 논의를 한 적은 없었다. 대통령께서 후보 시절에 그 부분에 대해서 말씀을 하신 적 있었다”며 “저는 이 부분(헌법 조문 수록)에 대해서 매우 적극적으로 검토할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전날 5·18 정신의 헌법전문 수록을 논의하기 위한 헌정특위 구성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1987년 헌법이 개정된 지 40년이 다 돼가는 등 시대가 많이 바뀌었다”며 “헌법을 한번 손볼 때가 됐다”고 긍정적으로 답했다. 그는 “개인적으로 대통령제를 더 이상 우리가 고집할 때가 아니고, 이제는 내각책임제를 할 때가 됐다고 생각한다”며 IT, 정보화, 환경, 탄소 중립 같은 가치도 헌법에 담아야 한다고 부연했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 투표와 관련해서는 민주당을 향해 국민 여론을 무시하고 역행한다면 심판받을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그는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한 총리 후보자를 임명해야 한다는 쪽이 더 많이 나온다”며 “자기들이 정권 잡을 때는 좋은 사람이라고 했다가 우리가 정권 잡으니까 나쁜 사람이다 그러면 그때그때 너무 달라지는 것 아니냐”고 되물었다.
이어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무슨 결격 사유가 있다기보다는 오히려 민주당 청문 위원들의 결격 사유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될 만큼 민주당의 청문회 전략은 완패했다”며 “ 왜 한 장관에 대해 저렇게 끝까지 알레르기 반응을 민주당이 일으키느냐”고 꼬집었다.
윤재순 총무비서관의 과거 성 비위 문제에 대해서는 “좋은 일이라고 할 일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결격 사유라고까지 할 수 있을 것인가 생각이 든다”면서도 “(여성 비하를 한 탁현민 전 의전비서관을) 청와대의 핵심 비서관으로 계속 데려갔던 민주당 정권에서 그렇게 말할 입장이 안된다”고 답했다.
이찬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