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역 국립대 총장 선출 진통

입력 2022-05-16 13:07 수정 2022-05-16 13:16

충북대학교와 한국교통대 등 충북지역 국립대학이 차기 총장 선출을 놓고 투표 반영비율 등에 대한 의견이 모이지 않아 진통을 겪고 있다.

충북대 김수갑 총장은 올해 8월 22일 임기가 종료된다.

국립대 총장의 경우 대학에서 후보자를 추천하면 교육부 검증과 국무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대통령이 임용한다. 이 절차를 고려할 때 충북대는 늦어도 7월 초 1·2순위 후보자를 교육부에 추천해야 한다.

지난해 개정된 교육공무원법으로 투표 반영비율은 전체 구성원 합의를 얻어야 한다. 구성원 합의를 통해 80%에 이르던 교수 투표 비율을 축소 또는 조정하라는 게 법 개정 취지다.

교수, 교직원, 학생간 합의가 결렬되면 학내 갈등과 총장 공백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충북대는 아직까지 선거를 관리할 총장후보자임용추천위원회도 구성되지 않는 상태다.

현재 충북대 총장 후보로는 연임 의사를 밝힌 김 총장을 포함해 6명이 거론된다.

충북대는 2018년 총장 선출을 직선제로 전환했다. 이전에는 교수들이 중심이 돼 선출했다. 김수갑 현 총장을 선출한 첫 직선제 선거는 전임교원 744명, 직원 439명, 조교 146명, 학생 113명이 참가했다.

충북대와 비슷한 시기 직선제 총장을 선출하는 한국교통대의 경우 교수 단체가 직원·학생 단체의 반영비율 상향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아 갈등을 겪고 있다.

80대20이었던 교수와 직원·학생의 투표 비율을 어떻게 조정할지가 쟁점이다. 교수회는 75대25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직원·학생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직원과 학생은 교수와 대등한 투표비율 반영을 요구하고 있다.

교통대는 교수, 직원, 학생 등이 참여한 투표 비율 특별협의체가 이달부터 매주 1회 회의를 열어 합의를 도출하기로 했다.

교통대 현 총장 임기 종료는 6월 14일이다. 교통대는 7월 초 총장 선거 실시를 목표로 투표 비율 합의를 추진하고 있다.

교통대 구성원은 교수 332명, 직원 271명, 학생 8000여명이다.

교통대 관계자는 16일 “구성원들이 요구하는 투표비율 차이가 워낙 커 합의가 쉽지 않고 협상도 진척이 없는 상황”이라며 “직원과 학생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교수들이 기득권을 양보해야한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