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재순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이 성비위 논란에 휘말렸으나 대통령실은 일단 윤 비서관을 ‘엄호’하는 기류를 보이고 있다. 과거 부적절한 발언들에 대한 문제 제기로 사실상 경질된 김성회 전 종교다문화비서관과는 사안이 다르며, 윤 비서관 관련 논란이 경질까지 갈 정도 수준은 아니라는 게 대통령실의 입장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15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시비의 소지가 없었다면 좋았겠지만, 공직 수행에 문제가 있을 만큼 심각한 문제라고 보지는 않는다”며 “제기된 의혹에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윤 비서관은 1996년 10월 검찰에 근무하던 때 여성 직원과 부적절한 신체 접촉이 있었다는 의혹을 받았지만, 대통령실은 자체 조사를 거쳐 당시 신체적 접촉은 없었다는 결론을 낸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특히 윤 비서관에 대한 야권의 공세를 ‘물타기’라고 지적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저쪽(더불어민주당)에서 박완주 의원 성비위 사건이 터지니까 다 동원해 물타기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날릴 정도의 잘못을 했으면 (윤 비서관의 성비위 의혹이 제기됐을 때) 구두 경고로 끝났겠느냐”며 윤 비서관이 당시 정식 징계를 받지 않았음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윤 비서관이 과거 직접 쓴 시에 왜곡된 성인식이 반영돼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논란은 커지는 상황이다.
윤 비서관이 2002년 출간한 시집에 들어 있는 ‘전동차에서’라는 제목의 시가 문제의 글이다. 여기서 윤 비서관은 “전동차에서만은/ 짓궂은 사내아이들의 자유가/ 그래도 보장된 곳이기도 하지요/ 풍만한 계집아이의 젖가슴을 밀쳐 보고/ 엉덩이를 살짝 만져 보기도 하고/ 그래도 말을 하지 못하는 계집아이는/ 슬며시 몸을 비틀고 얼굴을 붉히고만 있어요”라고 적었다.
명백한 성추행을 ‘사내아이들의 보장된 자유’라는 식으로 표현한 것을 두고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불건전한 세태를 시적인 언어로 표현한 것이지, 그 자유가 보장돼야 한다는 취지가 아니었다”고 반박했다.
윤 비서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검찰총장으로 재임하던 때 대검 운영지원과장을 맡았던 최측근 인사다. 윤 대통령이 성남지청 검사였던 1997년부터 인연을 맺어 대검 중수부, 특검, 서울중앙지검 등에서 함께 근무했다.
한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폄하 발언 등 여러 망언으로 비난받은 김성회 전 비서관은 지난 13일 자진 사퇴했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