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자를 비하하는 듯한 SNS 글 등으로 논란을 빚은 김성회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이 13일 자진 사퇴했다.
대통령실 대변인실은 이날 취재진에 공지를 통해 “김 비서관은 대통령에게 누가 되지 않기 위해 자진 사퇴한다고 밝혔다”고 발표했다.
윤석열정부 출범 이후 대통령실 비서관급이 낙마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비서관은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담임목사가 창간한 자유일보 논설위원 출신이다.
김 비서관은 앞서 자신의 페이스북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보상 요구를 ‘화대’라 표현한 글 등을 실은 바 있다.
김 비서관은 지난 11일 관련 발언에 대해 해명하면서 “박근혜정부 때 진행된 포괄적 사과와 배상이 이뤄진 것을 트집잡고 개인보상을 집요하게 요구하는 누군가와 언쟁하면서 대꾸한 게 문제가 됐다”며 “개인간 언쟁을 하다 일어난 일이지만 지나친 발언이었다고 생각하고 깨끗이 사과드린다”고 했다.
김 비서관은 또 지난해 3월 하버드대 램지어 교수의 위안부 역사 왜곡 파문이 불거졌던 당시 SNS에 “조선 시대 절반의 여성이 성 노리개였다”며 “일본군 만행에 대한 분노의 절반 만큼이라도 조선시대 노예제에 대해서도 탐구하고 분노하자”고 적었던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됐다.
김 비서관은 지난 12일 페이스북에 “(조선시대에는) 결국 여성 인구의 절반이 언제든 주인인 양반들의 성적 쾌락 대상이었다. 그런 부끄러운 역사를 반성하자는 것이 잘못된 것인가”라고 적어 재차 논란을 낳았다.
대통령실은 김 비서관의 자진 사퇴 결정을 기다려본 후 상황 변화가 없으면 해임 절차를 밟을 계획이었다는 점에서 사실상 ‘경질’에 가깝다는 해석이 나온다.
국민의힘에서는 13일 김 비서관에 대해 “빠르게 판단해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인사 조치가 있었으면 좋겠다”(김용태 최고위원) “정리(인사 조치)하는 게 맞다”(정미경 최고위원) 등의 공개 발언이 나오기도 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