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5·18광주민주화운동 42주년 기념식에 참석한다. 취임 후 첫 지방 나들이로 5·18의 헌법전문 수록 등에 관해 입장을 표명할 지 주목된다.
13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오는 18일 오전 광주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리는 국가보훈처 주관 기념식에 참석할 계획이다. 지난 10일 취임한 윤 대통령이 참석하는 첫 국가기념일 행사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에서 역대 정권에서 제창여부를 두고 논란이 거듭된 5·18 상징곡이자 민중가요인 ‘임을 위한 행진곡’도 제창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공약한 ‘5·18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에 대해 기념식을 통해 어떤 언급을 할 지 관심이 모아진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5·18민주묘지 참배 후 “5·18정신이라는 것은 자유민주주의 정신이고 헌법 가치를 지킨 정신이므로 개헌 때 헌법 전문에 반드시 올라가야 한다고 전부터 늘 주장해왔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또 “5·18은 민주화를 앞당기기 위한 희생으로 진보진영의 전유물이 아니다”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광주를 갈 것”이라고 강조해왔다.
1997년 김영삼 정부 당시 5·18은 국가기념일로 승격됐다. 현직 대통령이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이 처음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임기 5년 동안 한해도 거르지 않고 기념식에 참석했다.
문재인 직전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17년과 2019년, 2020년 등 5·18 기념식에 3차례 참석했다.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은 취임 첫해만 참석했었다.
올해 5·18기념식은 ‘오월, 진실의 힘으로 시대의 빛으로’를 공식 슬로건으로 선정했다.
광주지역 일부 시민단체들은 5·18의 가해자인 전두환 전 대통령의 치적을 옹호한 윤 대통령의 참석을 반대하는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반면 당사자인 5·18 유족회와 공법단체 부상자회, 구속부상자회 등 5월 단체는 최근 윤 대통령의 참배를 막지 않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인 지난해 11월과 올해 2월 국립5·18민주묘지 참배에 나섰다가 추모탑 방문을 허용할 수 없다는 시민단체의 저지에 막혀 무산된 적이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2월 두번째 방문에서 추모탑과 20~30m 가량 거리를 둔 채 간이 참배를 한 뒤 ‘5월 정신 이어받아 자유민주주의 지키겠습니다’라는 글을 방명록에 남겼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