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주민세 전액을 해당 읍·면·동 주민이 원하는 사업에 쓰는 ‘시민참여형 마을 교부세 사업’으로 121건을 확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앞서 지난 2~4월 울산시는 4개 구, 44개 동 행정복지센터와 주민자치회 중심의 지역회의를 통해 수렴한 주민제안사업을 울산시 주민참여예산위원회 운영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올해 마을교부세 사업을 확정했다.
시민 참여형 마을교부세 사업은 개인분 주민세를 해당 지역으로 환원해, 주민이 직접 발굴한 지역 현안 사업에 집행하는 제도다. 울산시는 주민 자치역량과 역할을 강화하는 ‘울산형 마을 뉴딜’의 대표사업으로 지난해 전국 처음으로 추진해, 올해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에서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올해 마을교부세 사업에는 총 31억 300만원이 투입된다. 구별로는 중구 42건(7억 7000만원), 남구 37건(11억 200만원), 동구 20건(5억 2500만원), 북구 22건(7억 600만원) 등이다.
사업 분야별로는 ‘환경개선’ 분야가 65건(53.7%)으로 가장 많았고, ‘문화관광’ 18건(14.9%), ‘안전안심’ 17건(14.1%), ‘주민자치’ 9건(7.4%), ‘지역특화’ 5건(4.1%), ‘보건의료’ 3건(2.5%), ‘사회복지’ 2건(1.7%), ‘마을스마트화’ 1건(0.8%), ’교육‘ 1건(0.8%) 순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5월 중순에 4개 구에 사업비를 교부해 시민참여형 마을교부세 사업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