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 후보자 인준이 국회 문턱을 넘어야 명실상부하게 윤석열정부 초대 내각이 완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이 10일 취임 직후 1호 결재로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임용 동의안 제출’에 서명한 것에도 다목적 포석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상징성이 큰 1호 결재로 한 후보자 임용 동의안을 택한 것은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인준에 협조해달라는 읍소용이자 압박적 메시지라는 것이다.
윤 대통령 측은 한 후보자 인준을 위해 전략 수정도 검토하고 있다.
윤 대통령 측은 당초 더불어민주당이 ‘부적격’ 판정을 내린 일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해 임명을 강행할 수 있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그러나 자칫 임명 강행이 민주당을 자극하고, 한 후보자 인준 부결의 명분을 줄 수 있기에 임명 강행에 신중한 기류가 감지된다.
대통령실은 16일 국회 본회의에서 한 후보자 인준 표결이 이뤄지길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여야는 본회의 일정에 합의하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11일 “한 후보자 인준이 부결되면 다른 총리 후보를 찾을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장관 임명 강행 여부에 대해서는 “국회 상황을 보고 판단해야 해 고심이 깊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일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국회에 송부해달라고 요청한 상태다. 민주당은 정호영(보건복지부)·이상민(행정안전부)·원희룡(국토교통부)·박보균(문화체육관광부)·박진(외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보고서를 채택하지 않고 있다. 송부 요청 기한이 지난 뒤에는 윤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할 수 있다.
그러나 임명 강행은 가뜩이나 얼어붙은 정국을 더욱 경색시킬 수 있다.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총리 후보자 인준 표결 등 본회의 일정을 논의하기 위해 회동했지만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정부가 출범했고 대통령이 취임했다. 총리 인준이 꼭 필요한 상황”이라며 “인준에 협조하는 게 국회의 책무이기 때문에 타협점을 찾아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총리 후보자 인준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낙마를 연계해 정치공세를 멈춰줄 것을 촉구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KBS 라디오에 출연해 “총리 인준을 정쟁화하지 않고 빨리 처리할 수 있으면 좋겠다”며 “어떤 정치적 거래를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야당이 잘해야 여당도 잘할 수 있다”면서도 “한 총리 후보자의 인준을 민주당에 부탁한다”고 호소했다.
이상헌 구승은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