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회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이 과거 자신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폄하 발언 논란 등에 대해 11일 공식 사과글을 올려 해명에 나섰다.
김 비서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일부 언론들이 집요하게 저를 파헤치고 있다. 그동안 586세력과 종북주사파에 대해 지속적으로 비판했던 것에 대한 앙갚음이라는 생각이 든다”면서도 “몇 가지 해명하거나 사과하고 넘어가야 할 것 같다”며 사안별 입장을 밝혔다.
김 비서관은 먼저 과거 페이스북 게시글에 단 댓글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 배상금을 ‘밀린 화대’라고 표현한 것과 관련해서는 “박근혜 정부 때 진행된 한·일 정부 간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합의하면서 포괄적 사과와 배상이 이뤄진 것을 트집잡고 개인 보상을 집요하게 요구하는 누군가와 언쟁하면서 댓글로 대꾸한 것이 문제가 된 듯하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개인 간 언쟁을 하다 일어난 일이지만, 지나친 발언이었다고 생각한다”며 “그렇기에 깨끗이 사과드린다”고 적었다.
이어 동성애 혐오 논란이 제기된 ‘동성애는 정신병의 일종’이라고 한 발언을 언급하며 “개인의 성적 취향에 대한 혐오발언의 성격이 있었다는 것을 인정하며 이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했다.
김 비서관은 그러나 “저 개인적으로는 동성애를 반대한다”면서 “선천적인 동성애 성향을 갖고 있는 사람도 있지만, 많은 경우는 후천적인 버릇이나 습관을 자신의 본능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본다”고 적었다. 또 “그런 경우에도 동성애도 바람직한 것이라고 보기 보다는 흡연자가 금연 치료를 받듯이 일정한 치료에 의해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런 차원에서 나온 발언”이라고 덧붙였다. 동성애를 질환으로 본다는 취지의 입장을 유지한 것이다.
그는 2019년 페이스북에 ‘동성애를 정신병의 일종으로 생각한다’고 쓴 글 등이 성적 취향에 대한 혐오를 드러냈다는 이유로 활동 중단 조치를 당했다고 스스로 밝힌 바 있다.
김 비서관은 자신이 과거 논란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페이스북 포스팅을 숨김처리하거나 삭제했다는 식의 보도와 관련해서도 “지난 게시물에 대해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친구만 보기로 처리하고 있다”며 숨기거나 삭제한 적은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제가 무슨 큰 잘못이나 하고 도망이라도 치는 듯이 ‘숨김 처리’ ‘삭제’ 등의 표현을 쓴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면서 “균형감을 상실하고 신상털이식 보도를 하는 일부 언론에 대해선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김 비서관은 지난 6일 윤석열 정부에서 신설된 종교다문화비서관에 내정, 지난 10일부터 업무를 시작했다. 이후 그가 자유일보 논설위원으로 있으면서 대선 다음날인 지난 3월10일 김건희 여사를 ‘평강공주’에 비유하며 찬양한 칼럼과 과거 페이스북 발언 등을 둘러싼 논란이 일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