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에서 매월 내놓는 고용동향 분석 논조가 정권 교체를 계기로 확 달라졌다. 문재인정부 시기인 지난 3월 고용동향까지만 해도 ‘강한 고용 회복’을 강조하다가 이제는 ‘위기’를 강조하고 나섰다. 정부 기조가 바뀌면서 그동안은 함부로 말 못했던 냉정한 현실 인식이 이제야 전면에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기재부는 11일 내놓은 ‘4월 고용동향 분석’ 자료에서 고용이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직접 일자리 등 공공부문 취업자 영향이 상당했다고 분석했다. 또 대면 서비스업 고용은 코로나19 위기 이전 수준에 여전히 못 미친다는 분석도 더했다. 고령층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증가했다는 분석이나 단시간 근로자가 증가 추세라는 상황 인식도 곁들였다. 그 동안 언론에서 지적해 온 직접 일자리 논란, 서비스업 고용 악화, 임시·일용직 증가와 같은 문제점들을 분석에 반영한 것이다.
불과 한 달 전까지만 해도 보기 힘들었던 분석들이다. 기재부가 지난달 13일 발표한 ‘3월 고용동향 분석’ 자료를 보면 ‘뚜렷한 (고용) 개선세 시현’ ‘8개월 연속 고용률 상승’ ‘3개월 연속 모든 연령대 취업자 수 증가’ 등을 앞세웠다. 단시간 근로자 증가 추세를 적시한 이번 달과 달리 전일제와 상용직 근로자 중심으로 취업자가 증가했다며 치켜세우기도 했다. 숙박음식·도소매업, 일용직 등 취약계층 어려움이 이어진다는 지적은 자료 맨 끝 쪽에 배치해 눈에 띄지 않도록 해놓은 점도 4월 고용동향 분석과 대비된다.
일자리 대통령을 표방했던 문재인정부 시기 내놓은 분석들이다보니 유리한 수치를 더욱 강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유일호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고용의 질 문제를 봐야 한다. 재정 풀어서 하는 고용은 숫자로야 얼마든 만들지만 질적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세종=신준섭 신재희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