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도 도심항공교통(UAM) 사업에 뛰어든다. SK텔레콤·KT와의 이동통신사 ‘UAM 3파전’ 양상이 전개될 전망이다.
UAM은 프로펠러와 날개를 달아 수직 이·착륙하는 전기동력 비행체에 사람이 타고 이동하는 교통체계다. 여러 비행체가 충돌하지 않고 운항하려면 안정적인 통신 네크워크가 필수다. 이 때문에 통신사들은 UAM을 ‘미래 성장엔진’으로 여긴다.
LG유플러스는 카카오모빌리티, GS칼텍스, 제주항공, 파블로항공,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와 국토교통부의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챌린지(K-UAM GC) 실증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했다고 11일 밝혔다. K-UAM GC는 2025년까지 UAM 국내 상용화를 목표로 비행체의 안전성, 교통관리 기능시험 등을 통합 운용하는 실증 프로그램이다. 올해 참가자를 선정해 내년부터 개활지 실증 비행에 돌입한다.
UAM 상용화를 위해선 통신사 참여가 필수다. 여러 비행체가 서로 충돌하지 않고 하늘을 날려면 송수신이 안정화된 고도의 항공교통 통신네트워크가 필요하다. 지상과 비행체 간 통신, 비행체와 비행체 간 통신이 원활해야 자율운항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5세대(5G) 이동통신망을 갖춘 통신사들이 시장 선점을 위해 앞다퉈 진출을 선언하고 있다.
또한 UAM 산업은 비행체 개발뿐 아니라 연료전지(수소, 전고체배터리), 자율주행, 운송 서비스, 신소재, 방위산업 등과 연결된다. 침체에 빠진 산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산업으로 불리기도 한다. 통신사들이 비행체 개발 기업, 교통관리시스템 연구 기업, 배터리 기업, 운영자와 이용자를 연결해주는 플랫폼 기업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업과 협력하는 이유다.
예를 들어 LG유플러스가 꾸린 컨소시엄에서 UAM 기체 제작, 사후 관리, 항공경로 설계 등은 영국의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에서 맡는다.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는 1350대 이상의 전기 수직이착륙기 제작 선주문을 받은 글로벌 UAM 기체 제조회사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T 운영 경험을 기반으로 자동체크인, 보안검색 등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을 운영할 예정이다. GS칼텍스는 주유소 네트워크를 활용해 ‘UAM 정류장’인 비행체 이착륙 거점(버티포트)을 제공한다. 제주항공은 항공전문인력과 운항 관련 시스템 등을 서비스한다.
이미 시장에 진출한 SK텔레콤도 티맵모빌리티,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한국교통연구원 등과 공동 사업을 진행 중이다. KT는 현대자동차, 현대건설, 인천공항공사, 이지스자산운용 등과 UAM 협력체를 만들었다.
UAM이 도입되면 서울 강남에서 김포공항까지 이동시간이 약 10분으로 줄어 든다. 교통정체 해소 효과가 상당할 기대된다.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는 지난해 70억 달러(약 8조3300억원)인 세계 UAM 시장 규모가 2040년 1조4740억 달러(약 1754조600억원)까지 성장한다고 추산한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