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서해안 바닷물에서 올해 첫 비브리오 패혈증균이 검출됐다고 11일 밝혔다.
연구원은 충남 서해안지역 6개 시·군 12개 지점의 해수 및 갯벌을 대상으로 매년 비브리오균 모니터링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올해는 지난달 27일 서천군 창선리 해수에서 처음으로 비브리오 패혈증균이 분리됐다.
도내 비브리오 패혈증균은 2018년은 6월, 2019년 5월, 지난해와 올해는 4월에 처음 검출되는 등 시기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 연구원은 지구온난화 등 해양환경의 변화가 원인인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치사율이 50%에 달하는 제3급 법정 감염병이다. 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날로 먹거나 상처 난 피부를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된다.
건강한 사람보다는 만성간질환 알코올중독 당뇨병 등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에서 주로 발생한다.
약 1~2일 정도 짧은 잠복기를 거쳐 급성 발열과 오한, 혈압 저하, 설사, 복통, 구토 등이 나타나고 발열 후 24시간 이내에 피부 이상 증상 및 원발성 패혈증이 나타난다.
최진하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비브리오 패혈증은 어패류 생식을 피하는 등 선재적 예방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낚시나 해수욕을 삼가야 하며 고위험군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