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진 신임 환경부 장관은 11일 “국제적·사회적 격변에 대응해 환경정책도 한 단계 더 도약해야 한다”며 “과학기술과 혁신에 기반한 환경정책을 확립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을 갖고 “우리가 해결해야 할 환경이슈는 물, 대기 등 전통적인 오염 문제에서부터 우리나라뿐 아니라 국제사회가 함께 풀어야 하는 ‘기후 위기’까지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 장관은 “과학적 분석과 객관적 사실에 기반한 환경정책이 이뤄질 수 있도록 데이터와 논리에 기반한 정책을 펼쳐야 한다”며 “특히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와 같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들을 환경정책에도 적극적으로 접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또 “소통과 협력으로 정책의 현장적용성을 높여야 한다”면서 관계부처나 지자체와의 협력을 강조했다. 그는 “최근 초광역지자체를 비롯한 지자체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만큼 지자체와 상시적 협력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산업계, 전문가, 시민단체, 지역주민 등 이해관계자 의견도 충분히 수렴하여 환경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 장관은 “탄소무역장벽, 탈플라스틱, 녹색금융 등 환경규범이 국제질서를 주도하고 있다”며 “이러한 흐름에 마지못해 끌려가기보다는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한 장관은 “올해는 국제사회가 1992년 ‘리우선언’을 채택한 지 30년이 되는 환경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그린 ODA와 국제 환경협력 등에 적극 참여해 기후위기 등 전지구적 환경문제를 극복하는데 솔선수범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끝으로 “정책과 행정체계는 과학기술의 진보와 시대적 요구에 맞춰 진화되어야 한다”며 창의적이고 유연한 환경정책을 주문했다. 그는 “민간의 자율과 창의를 최대한 이끌어 내고, 환경가치의 근간은 지키면서 목적을 가장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운영방식을 개선해 나가는 자기 진화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취임식 직후 국립대전현충원을 방문해 현충탑에 참배하고, 국민을 위한 환경정책을 펼치겠다는 다짐을 방명록에 남기는 것으로 공식일정을 시작할 계획이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