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고경력 과학인들에게 은퇴 후에도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경북 골든사이언스파크’ 청사진 마련에 나섰다.
도는 11일 DGIST, 경북대, 안동대 등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연구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전략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경북 골든사이언스파크는 도청 신도시에 고경력 과학기술인을 위한 지식타운을 조성해 은퇴 후 그들이 지속해서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사업을 실행할 기회와 환경을 제공하는 북부권 혁신 성장 프로젝트다.
도는 지난해 ‘경북 골든사이언스파크’ 기본구상으로 1단계로 은퇴 과학기술 인력을 연계해 국가 바이오 신 산업 허브를 구축하고, 2단계로 과학기술과 인문 사회학을 융합한 글로벌 혁신연구단지 조성 방안을 내놨다.
이번 연구 용역은 지역의 여건과 정부의 정책 연계 등을 종합 분석하고 골든사이언스파크 내 도입 기능과 시설을 구체화하고 그에 따른 개발 수요와 사업 타당성 분석까지 포함한 종합 계획을 도출할 방침이다.
오동훈 한국주택학회 교수는 “은퇴 과학기술인들이 정주·순환하며 지속해서 연구 활동과 재능기부를 통해 지역의 백신바이오산업 및 융·복합 인문환경의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단지를 조성하겠다”며 “골든사이언스파크가 실제로 활성화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추겠다”고 연구 계획을 밝혔다.
강성조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새 정부 국정 과제로 경북의 백신바이오산업이 지정되면서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역량이 활용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그에 따른 기술·산업적 성과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며 “경북골든사이언스파크가 도청신도시 활성화에 새로운 대안 전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도는 이날 보고회에서 논의된 의견들을 수렴해 용역에 반영하고 추후 은퇴(예정)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에 대한 의견을 듣는 자리를 마련해 용역이 심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