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국세청장에 김창기 전 부산지방국세청장을 내정한 것으로 10일 확인됐다.
윤 대통령은 또 신임 금융위원장에 김주현 여신금융협회장을 기용할 방침이다.
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는 “취임식을 마친 윤 대통령은 국세청장·금융위원장 인선을 마무리하면서 국정 운영에 전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창기 국세청장 내정자와 김주현 금융위원장 내정자에 대한 인사는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축으로 하는 ‘경제원팀’ 기조에 방점을 찍은 인선으로 분석된다.
김 국세청장 내정자는 경북 봉화 출신으로, 대구 청구고와 서울대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했다. 행정고시(37회)에 합격하며 공직에 발을 들였다.
안동세무서장과 국세청 세정홍보과장·개인납세국장 등을 역임했다. 문재인정부에서 1급으로 승진해 중부국세청장과 부산국세청장을 차례로 지낸 뒤 지난해 12월 퇴임했다.
퇴임 인사가 국세청장으로 ‘금의환향’한 것은 이례적이다. 또 전·현직을 떠나 부산청장을 마치고 국세청장으로 상승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국세청 관계자는 “김 내정자는 정통 TK 인사로 분류되면서, 문재인정부에서 능력에 비해 인사상으로 크게 빛을 보지 못한 측면이 있다”면서 “같은 TK지역 인사인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국세행정 측면에서 뒷받침하기 위한 인선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김 금융위원장 내정자는 중앙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25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김 내정자는 추 부총리와 행정고시 동기다. 김 내정자 인사도 새 정부 ‘경제 원팀’ 기조를 의식한 인선이라는 평가다.
김 내정자가 금융위원장에 최종 낙점되면서 ‘추경호·최상목(경제수석)·김주현’으로 이어지는 새 정부 ‘경제 삼각편대’ 구성이 완료됐다.
김 내정자는 정통 경제관료 출신이다. 그는 재무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한 이후 금융위 금융정책국장,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 금융위 사무처장, 예금보험공사 사장 등을 주요 보직을 역임했다.
2019년부터 여신금융협회장직을 맡고 있다. 김 내정자는 윤석열정부 첫 경제수석 후보 물망에도 오르기도 했다.
김 내정자는 금융시장 변동성 관리 능력을 인정 받아 저성장·고물가·금리상승 등 난제를 해결할 적임자로 평가됐다.
김 내정자는 앞서 문재인정부에서 임명된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최근 사의를 표하면서 가장 유력한 후보로 로 거론됐다.
정현수 강보현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