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세계 최초로 꽃향기 가시화해 측정 성공

입력 2022-05-10 15:15
실험에 사용된 백합과 꽃향기 분비 측정 결과.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꽃향기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기계공학과 유체 및 계면 연구실 김형수 교수와 생명과학과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 연구팀이 꽃향기를 실시간으로 가시화해 측정하는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두 연구팀은 레이저 간섭계 기반의 휘발성 유기물 증기(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상대 굴절률 측정을 통해 백합에서 나오는 꽃향기를 측정했다.

기존의 향기 측정 방법은 물질 포집 후 질량분석을 통해 양을 측정했기 때문에 꽃이 어떤 주기로 향기를 뿜어내는지 알 수가 없었다.

꽃향기는 식물이 화분매개곤충과 교류하는 대표 수단 중 하나이기 때문에 꽃의 생식과 진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기술은 꽃향기 합성·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고 화분매개곤충과 상호작용을 통한 꽃향기 물질 진화 연구에 활용될 전망이다. 또 향기 물질 분비를 제어할 수 있게 될 경우 원예 및 농작물 생산 증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된다.

기계공학과 이길구 박사과정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플랜트 사이언스(Frontiers in Plant Science)’ 2022년 4월호에 게재됐다.

김형수 교수는 “공기 중 증기나 가스를 가시화할 수 있는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위험 유해물질(HNS)이 얼마나 노출됐는지 직접 알 수 있어 산업용이나 군사용으로도 확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상규 교수는 “이 기술을 활용해 향기 물질 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고 메커니즘을 밝힐 것”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