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흑서’ 저자인 김경율 회계사가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 증인으로 출석한 자리에서 더불어민주당 법제사법위원회 의원들과 고성을 주고받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김 회계사가 “민주당은 대장동 주범이 윤석열이라고 뜬금없는 이야기를 지껄였다”며 다소 과격한 표현을 쓰거나 팔짱을 낀 모습을 보이자 민주당 의원들은 “청문회를 방해하러 온 것이냐”며 거세게 항의했다.
김 회계사는 9일 한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문재인정부 법무부 장관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를 받자 “최근 모 의원의 성희롱 발언 의혹을 보면 전형적인 민주당의 태도를 알 수 있다”며 민주당을 성토했다. 앞서 성희롱 발언 의혹으로 논란이 됐던 최강욱 민주당 의원을 겨냥한 발언이었다.
김 회계사는 “첫 번째 민주당은 사건이 외부로 발설되지 않게 하라며 은폐하고 두 번째 은폐가 실패하면 조작한다”며 “‘쌍디귿(ㄸ)이냐, 쌍지읒(ㅉ)이냐’ 여러 사건에서 볼 수 있다”고 날을 세웠다. 최 의원이 성희롱성 발언인 ‘XX이’가 아닌 ‘짤짤이’라고 했다는 해명을 저격한 것이다.
또 “대장동 때에는 처음에 단군 이래 최대 치적이라고 하다가 여러 언론, 시민사회에 의해 은폐한 것이 드러나니 이제부터 조작을 했다”며 “‘대장동 주범이 윤석열이다’라고 뜬금없는 이야기들을 지껄였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회계사는 “저는 어디에서든 이 예를 들 수 있다. 문재인정부 내내 특별감찰관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이어 “권력형 범죄, 갖은 경제 범죄에 대해 어떻게 했느냐”고 반문하며 “수사기관을 무력화시켰다. (서울)남부지검 증권범죄합동수사단을 없앴다”고 구체적인 예를 들었다.
이어 김 회계사는 VIK(밸류인베스트코리아)·라임·옵티머스 사건 및 이날 언론 보도로 전해진 디스커버리 펀드 사건까지 포함해 “제가 언급한 4가지 금융사기 사건에 대해 문재인정부 내내 덮기 급급했다”고 주장했다.
김 회계사가 ‘지껄였다’는 거친 표현을 쓰는 등 문재인정부와 민주당에 대한 전방위 공격을 펼치자 민주당 법사위 의원들은 거세게 반발했다.
김남국 민주당 의원은 “증인을 불러 질의하는 것은 증인이 경험하고 전문가로서 발언할 수 있는 내용을 청취하기 위한 것인데 증인의 여러 발언은 전혀 증인이 경험한 것도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어 “증인이 경험한 것도 아니고 판단할 수 있는 영역도 아니다”며 “하물며 인사청문회와 무관한 정치적 선동에 가까운 얘기를 하고 있다”고 했다.
같은 당 김종민 의원도 김 회계사에게 “청문회 방해하러 온 것이냐”며 “정치적 선동으로 만들고 이것이 무엇이냐”고 질타했다.
김영배 민주당 의원은 “저런 증인으로 청문회를 계속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지껄인다’고 한다. 국민들 보고 있는데 이것이 무엇이냐”고 비판했다.
김 회계사는 박광온 법사위원장과도 신경전을 벌였다. 김 회계사는 박 위원장이 “증인 팔짱 푸세요”라고 말하자 “이런 자세도 안 됩니까”라고 불만을 드러냈다. 그러자 박 위원장은 더 이상 발언하지 않았다.
국민의힘은 김 회계사를 옹호했다.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은 민주당 의원들을 향해 “바쁘신 분들 증인으로 모셨다. 귀한 말씀들 소중히 들어야 한다”며 “제 생각, 우리 편과 다르더라도 들어야 한다. 네 분 중 편 갈라 두 분, 두 분 모신 거 아닌가”라고 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에서 부른 한동수·임은정 증인을 가리키며 “국민의힘에서 야유를 보냈나, 욕을 했나. 해도 해도 너무하는 것 아닌가. 설사 거슬리는 말을 하더라도 모셨으면 듣는 게 맞다”고 김 회계사를 두둔했다.
그러자 김종민 민주당 의원은 “증인이 어느 일방을 대변하는 건 좋은데, 정치 선동의 장으로 가면 안 된다”며 “저런 식으로 증인을 부르면 상임위 자체가 개판이 된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